135도 갈고리 대체용 원터치-RC클립(씨에이치건설기술)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135도 갈고리 대체용 원터치-RC클립(씨에이치건설기술)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693) N
    • D16용 원터치 RC클립 개발과정 및 사용 (26)
    • 계룡그룹 수주 및 사업 (30)
    • 구조VE 및 물량절감 노력 (3)
    • 비정형 (20)
    • 건축구조용어 (80)
    • 건설기술 (74) N
    • 모듈러 연구 (2)
    • 건축구조실무큐엔에이 (154)
    • 핵심구조상식2017 (125)
    • 현대건축의흐름 (22)
    • 건축구조기술사 (10) N
    • 산티아고칼라트라바 (1)
    • 구조설계에센스 (0)
    • 원터치RC클립 (2)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29)

검색 레이어

135도 갈고리 대체용 원터치-RC클립(씨에이치건설기술)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고장력 볼트의 접합방법인 밀착조임, 마찰접합, 전인장조임에 대한 설명과 검토해야할 전단강도 종류

    2025.04.25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평가를 위한 강도감소계수와 하중계수의 조정, 보강설계의 원칙

    2025.04.25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흙막이공법 선정시 중점관리사항 (출처 : 산업안전지도사 /예문사)

    2025.04.25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가설공사의 가새(Bracing) (출처 : 산업안전지도사 / 예문사)

    2025.04.25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이동식 비계 (출처 : 산업안전지도사 2차/예문사)

    2025.04.24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시스템비계 (출처 : 산업안전지도사 2차/ 예문사)

    2025.04.23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철근가공 및 철근 배근시 유의사항 (출처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2025.04.22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지하구조물 내진설계시 건축계획안, 지하구조물 내진설계 제외대상

    2025.04.21 by 한솔이지현이아빠

고장력 볼트의 접합방법인 밀착조임, 마찰접합, 전인장조임에 대한 설명과 검토해야할 전단강도 종류

고장력 볼트의 접합방법인 밀착조임, 마찰접합, 전인장조임에 대한 설명과 검토해야할 전단강도 종류 1. 고장력볼트 접합방법 1) 밀착조임 (1) 접합방법 - 임팩트렌치로 수회 또는 일반렌치로 최대한 조여서 접합면이 견실하게 밀착된 상태 - 지압접합 또는 진동 하중변동에 의한 고장력 볼트의 품질이나 피로를 설계에 고려할 필요가 없는 경우 적용 (2) 검토해야 할 전단강도 - 지압접합에 의한 설계전단강도 적용 - 설계전단강도= 0.7Fnv x Ab (Fnv=0.5Fu(나사부가 전단면에 포함이 안될 경우), 0.4Fu(나사부가 전단면에 포함될 경우) 2) 마찰접합 (1) 접합방법 - 표준볼트장력(설계볼트장력의 1.1배를 유지하도록 볼트를 조이고, 마찰면 처리를 하여 마찰력에 의해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카테고리 없음 2025. 4. 25. 19:34

평가를 위한 강도감소계수와 하중계수의 조정, 보강설계의 원칙

평가를 위한 강도감소계수와 하중계수의 조정, 보강설계의 원칙(KDS 14 20 90, 4.2.4 및 4.2.5) 1) 평가를 위한 강도감소계수 - 기존의 건축물을 평가할 때, 시공오차, 제작오차 등에 대한 불확실성이 제거되었으므로, 강도감소계수를 설계시보다 상향적용 가능함. (1) 인장지배단면 : 0.85--> 1.0 (2) 압축지배단면 : - 나선철근 보강부재 : 0.7--> 0.85 - 기타의 경우 : 0.65--> 0.8 (3) 전단력 및 비틀림모멘트 : 0.75--> 0.8 (4) 콘크리트 지압력 : 0.65--> 0.8 2) 평가를 위한 하중계수 - 하중조사를 통해 얻은 실제하중 적용가능 (1) 일반적으로 기설계하중 반영 (2) 하중조사 수행시 이를 반영가능 (3) 설계기준의 ..

카테고리 없음 2025. 4. 25. 17:39

흙막이공법 선정시 중점관리사항 (출처 : 산업안전지도사 /예문사)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글 2025. 4. 25. 16:22

가설공사의 가새(Bracing) (출처 : 산업안전지도사 / 예문사)

가설공사의 가새(Bracing) (출처 : 산업안전지도사 / 예문사) 1. 개요 - 4변형 가시설의 변형방지를 위해 설치하는 가새는 좌굴, 비틀림방지, 안정성확보를 위해 설치하는 보강재로 설치목적에 따른 안정성 확보가 이루어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중요함. 2. 원리 3. 역할 1) 좌굴방지 및 부재응력의 배분, 비틀림 방지 및 안정성 확보, 전도방지 2) 상부하중에 의한 전단력 배분 4. 설치시 유의사항 1) 대칭으로 배치(X자형으로 45도 유지) 2) 평행간격의 유지 3) 기둥간격 10m마다 45도 각도록 설치(비계일 경우) 4) 비계기둥과 띠장에 연결

건설기술 2025. 4. 25. 15:49

이동식 비계 (출처 : 산업안전지도사 2차/예문사)

이동식 비계 (출처 : 산업안전지도사 2차/예문사) 1. 개요 - 이동식 비계는 가설공사는 물론, 사용상의 편리함으로 인해 건축과 토목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작업에도 널리 사용되는 비계임. - 안전수칙의 불이행으로 인한 재해발생 건수가 적지 않게 발생되고 있으므로 사용현장의 안전관리자를 비롯한 관리자는 사용시 준사사항의 철저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지의 확인과 점검이 필요함. 2. 이동식 비계의 구조 3. 도해 4. 이동식 비계 조립 및 사용시 주의사항 1) 안전담당자의 지휘하에 작업을 행하여야 함. 2) 비계의 최대높이는 밑변 최소폭의 4배 이하이어야 함. 3) 작업대의 발판은 전면에 걸쳐 빈틈없이 깔아야 함. 4) 비계의 일부를 건물에 체결하여 이동 및 전도 등을 방지하여야 함. 5) 승강용 사다..

건설기술 2025. 4. 24. 19:30

시스템비계 (출처 : 산업안전지도사 2차/ 예문사)

시스템비계 (출처 : 산업안전지도사 2차/ 예문사) 1. 개요 - 기존 강관비계의 단점을 보완한 시스템비계는 안전성 확보차원에서 우수한 비계이나 이러한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수직재, 수평재, 가새 등의 설치기준을 준수하여야 하며, 특히, 일정 높이이상일 경우 구조안전성 검토를 받아야 함. 2. 설치기준 1) 수직재 (1) 수직재는 수평재와 직교되게 설치하며, 체결후 흔들림이 없을 것 (2) 수직재를 연약지반에 설치시 수직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지반을 다지고 두께 45mm이상의 깔목을 소요폭 이상으로 설치하거나 콘크리트 또는 강재표면, 단단한 아스팔트 등으로 침하방지 조치를 할 것. (3) 비계하부에 설치하는 수직재는 받침철물의 조절너트와 밀착되도록 설치하고 수직과 수평을 유지할 것. ..

건설기술 2025. 4. 23. 14:48

철근가공 및 철근 배근시 유의사항 (출처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철근가공 및 철근 배근시 유의사항 (출처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1. 철근가공 (표준갈고리) 2. 용어 정의 1) 스터럽(Stirrup) : 보의 주철근을 둘러싸고 이에 직각되게 또는 경사지게 배치한 복부 보강근으로서 전단력 및 비틀림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한 보강철근 2) 띠철근(Tie Bar) ; 기둥의 종방향 철근의 위치를 확보하고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횡방향의 보강철근 또는 철근 3) 후프철근(Hoop) : 폐쇄형띠철근 또는 연속적으로 감은 띠철근, 양단에 내진갈고리를 가진 여러 개의 철근으로 만들 수 있음. 연속적으로 감은 띠철근은 그 양단에 반드시 내진갈고리를 가져야 함. 4) 현장가공시 철근 규격 및 형상에 맞는 drum을 사용하여 철근 구부림 면에 균열이나 파..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2025. 4. 22. 09:16

지하구조물 내진설계시 건축계획안, 지하구조물 내진설계 제외대상

지하구조물 내진설계시 건축계획안, 지하구조물 내진설계 제외대상 1. 지하구조물 내진설계시 면밀한 방법으로 검토해야 하는 경우 1) 건물이 경사지에 건설되어 충분한 외벽없이 편심의 지진토압을 지지해야 하는 경우 2) 지하구조에 슬래브가 없거나 큰 개구부가 있어 지진토압을 지지하거나 외벽에 전달하기 어려운 구조 3) 지하구조의 평면 형상비(좁고 긴 평면)가 커서 지하구조의 횡강성과 강도가 작은 경우 4) 지상구조의 주요 수직재가 지하외벽에 면하여 설치되는 경우 5) 지하외벽의 붕괴가 직접적으로 상부구조의 붕괴 또는 인명피해로 촉발할 수 있는 경우 2. 지하구조물 내진설계 제외대상 1) 평지 또는 평지에 가까운 대지에 건설되고, 깊지 않은 1개 층의 지하구조물을 가지며, 지상층 연면적 500m2이하인 소규모 ..

카테고리 없음 2025. 4. 21. 23:4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4 5 6 7 8 9 10 ··· 87
다음
TISTORY
135도 갈고리 대체용 원터치-RC클립(씨에이치건설기술)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