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도 갈고리 대체용 원터치-RC클립(씨에이치건설기술)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135도 갈고리 대체용 원터치-RC클립(씨에이치건설기술)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868) N
    • D16용 원터치 RC클립 개발과정 및 사용 (28)
    • 계룡그룹 수주 및 사업 (30)
    • 구조VE 및 물량절감 노력 (3)
    • 비정형 (20)
    • 건축구조용어 (80)
    • 건설기술 (80)
    • 모듈러 연구 (3) N
    • 건축구조실무큐엔에이 (154)
    • 핵심구조상식2017 (178) N
    • 현대건축의흐름 (22)
    • 건축구조기술사 (13)
    • 산티아고칼라트라바 (1)
    • 구조설계에센스 (0)
    • 원터치RC클립 (3)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30)
    • 산업안전지도사(건설) (44)
    • 건축시공이야기탑다운편 (11) N
    • 전단보강재개발 (0)
    • 합성구조개발 (0)
    • 모듈러구조시스템개발 (0)
    • 건설안전기술사 (41) N
    • 시공메뉴얼 (9)

검색 레이어

135도 갈고리 대체용 원터치-RC클립(씨에이치건설기술)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 건설공사용 차량계 고소작업대 등 (출처 : 산업안전지도사 /예문사)

    2025.06.05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지내력기초에서 인접한 건물 또는 동일건물에서 기초간에 높이 차이가 있을 경우 대책? (출처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2025.05.11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지하주차장의 탈형데크 플레이트공법 적용시 동바리 설치기준은? (출처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2025.05.10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흙막이 벽과 지하구체 외벽의 최소간격은? (출처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2025.05.10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콘크리트 이어치기 위치 결정 및 콘크리트 치기 중 비가 올때 대처방법 (출처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2025.05.10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기둥철근 배근시 상 하부 띠철근 간격을 중앙부의 1/2로 하는 이유? (출처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2025.05.08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외단부나 측벽에 슬래브 철근 정착시 최소 정착길이 기준? (출처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2025.05.08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피복두께 유지가 잘못된 경우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 (출처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2025.05.08 by 한솔이지현이아빠

건설공사용 차량계 고소작업대 등 (출처 : 산업안전지도사 /예문사)

건설공사용 차량계 고소작업대 등 (출처 : 산업안전지도사 /예문사) 1. 개요 고소작업대는 사람 탑승용 차량탑재형의 종류별로 안전검사 기한 및 주기가 자동차 관리법에 의해 관리 되어야 하며 설치시, 이동시, 작업시에는 안전작업 절차 및 주요 안전점검사항에 의한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함. 2. 고소작업대의 종류 가. 차량탑재형, 시저형, 자주식 3. 작업시 재해 유형 및 원인 가. 지반침하 또는 적재하중 초과에 의한 전도 : 작업지반 다짐부족, 특히, 해빙기 지반의 다짐작업 미실시 및 적재하중 초고사 가중요소로 작용 나. 작업중 근로자 추락 : 작업대의 안전난간 미설치 다. 상승 중 지상 장애물과 충돌 또른 고압선 감전 : 사전 장애물에 대한 안전조치 부식 라. 붐과 작업대 연결부 파손에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2025. 6. 5. 14:11

지내력기초에서 인접한 건물 또는 동일건물에서 기초간에 높이 차이가 있을 경우 대책? (출처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지내력기초에서 인접한 건물 또는 동일건물에서 기초간에 높이 차이가 있을 경우 대책? (출처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 지내력기초에서 인접한 건물의 기초간에 높이 차이가 있을 경우에는 구조물 상호간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검토하여야 함. - 기초하중이 전달되는 영향선(경사각)을 고려하여 이격거리가 확보되도록 하거나 별도의 지반보강을 하여야 하며, 터파기시에도 상부기초의 영향선에 해당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원지반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여야 함. - 구조물 터파기 비탈면기울기는 설계지침(토목)에 명시되어 있으나, 이는 터파기 사면의 안전성에 대한 검토이므로 지내력기초에서는 구조물에 의한 영향에 따른 안전성 검토를 반영하여야 하므로 단순 터파기와는 구분되어야 함. 아파트 및 지하주차장 토층별 기초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2025. 5. 11. 10:52

지하주차장의 탈형데크 플레이트공법 적용시 동바리 설치기준은? (출처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지하주차장의 탈형데크 플레이트공법 적용시 동바리 설치기준은? (출처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1. 데크 플레이트공법이란? 공장에서 철근트러스와 아연도 강판을 점용접 시킨 철근일체형 데크플레이트를 하부에 써포트를 설치하지 않고 거푸집 대용으로 사용되는 공법임. 2. 그러나, 지하주차장 상부슬래브의 설계하중이 크고 시공시의 충격, 응력집중 등에 의한 처짐 및 시공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 스팬 4.25m~4.75m (NR4,5,6)까지의 슬래브에는 캠버를 설치하여 시공시 처짐제어 - 스팬 5m(NR7)이상 슬래브에는 제조사별 탈형데크 플레이트의 시방서에 따라 써포트를 설치하여 시공함.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2025. 5. 10. 18:17

흙막이 벽과 지하구체 외벽의 최소간격은? (출처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흙막이 벽과 지하구체 외벽의 최소간격은? (출처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 깊이 5m이하 : 120~150cm - 깊이 5m초과 : 150~180cm - 방수 공사 작업공간을 고려 최소 60cm이상 확보 1. 작업공간의 확보 - 지하외벽의 거푸집 해체 작업이나 방수공사에 필요공간 확보 - 간격이 많으면 되메우기량이 늘어나므로 150cm정도가 적당 - 도심지 공사에서 공간이 협소할 때도 최소 60cm의 공간이 필요 - 부득이한 경우는 20~30cm의 어중간한 거리를 두기보다 흙막이벽을 바깥 거푸집으로 지하 구체와 밀착시켜 시공 * 터파기여유 (건축 공사원가산정지침 3.1.1 터파기 수량산출기준) - 흙막이가 있는 경우 (물로량 60cm포함) - 흙막이가 없는 경우 (물고량 60cm포함)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2025. 5. 10. 18:05

콘크리트 이어치기 위치 결정 및 콘크리트 치기 중 비가 올때 대처방법 (출처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콘크리트 이어치기 위치 결정 및 콘크리트 치기 중 비가 올때 대처방법 (출처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1. 콘크리트 이어치기 위치 결정 - 구조공통도에 의거 아래와 같이 이어치기 시행 (구조공통도상 위치 이외에는 원칙적으로 금지) 1) 이어치기의 원칙 - 강도의 영향이 적은 곳 (전단력이 적은 위치) - 이음길이가 짧은 위치 - 시공순서에 무리가 없는 곳 - 부재의 압축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직각으로 하는 것을 원칙 - 지판(Drop Panel)은 슬래브와 함께 타설하고, 기둥머리(Column Capital)는 기둥과 함께 타설해야 함. 2. 콘크리트 치기 중 비가 올때의 대처방법 및 공사를 중지해야 하는 우량은 어느 정도인가? - 현장기술자가 판단하여 콘크리트치기의 계속, 중지 여부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2025. 5. 10. 17:51

기둥철근 배근시 상 하부 띠철근 간격을 중앙부의 1/2로 하는 이유? (출처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기둥철근 배근시 상 하부 띠철근 간격을 중앙부의 1/2로 하는 이유? (출처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1. 기둥 상하부의 전단보강설계로 응력에 따라 다르나, 구조설계기준에 따라 최소한의 기둥 상하부 띠철근 간격은 중앙부의 1/2로 하여야 함. 특히, 내진설계 구물의 구조성능은 연성적인 휨성능에 의해 지배되므로 지진력에 취약한 단부부위에 띠철근을 촘촘히(중앙부의 1/2) 배근함. 1. 압축부재에 사용되는 띠철근 기준(일반사항) 0505.5.2.32. 축방향 철근(기둥 주철근)지지를 위한 띠철근 배치 - 모든 모서리 축방향 철근과 하나 건너 위치한 축방향 철근들은 135도 이하로 구부린 띠철근의 모서리에 지지되어야 함. - 다만, 축방향 철근의 순간격이 150mm이상인 경우, 추가 띠철근을 배치 3...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2025. 5. 8. 14:01

외단부나 측벽에 슬래브 철근 정착시 최소 정착길이 기준? (출처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외단부나 측벽에 슬래브 철근 정착시 최소 정착길이 기준? (출처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1. 정착길이를 확보하기 어려운 위치에는 표준갈고리를 갖는 인장정착을 시행 2. 표준갈고리를 갖는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8db이상이고 150mm이상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2025. 5. 8. 09:49

피복두께 유지가 잘못된 경우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 (출처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피복두께 유지가 잘못된 경우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 (출처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1. 피복두께가 얇은 경우 - 콘크리트의 탄산화에 따른 내구연한의 감소, 부착력 손실에 정착 및 이음구간 할렬파괴 우려, 내화성능 감소 2. 피복두께가 두꺼운 경우 - 설계시 가정된 단면과 상이한 형태가 되어 요구단면보다 내력이 부족할 수 있음 3. 철근배치 허용기준 1. 피복두께가 얇은 경우 1) 중성화 현상 : 콘크리트내의 시멘트풀이 공기중의 이산화탄소에 의하여 탄산화 되는 현상 - 콘크리트 pH = 12~13 (보통 12.4), 중성화후 pH = 8.5~9.5 2) 중성화의 영향 : pH가 10보다 적을 때 철근부식 --> 철근의 체적팽창 (2.5배) --> 피복 콘크리트의 박리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2025. 5. 8. 09:0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TISTORY
135도 갈고리 대체용 원터치-RC클립(씨에이치건설기술)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