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도 갈고리 대체용 원터치-RC클립(씨에이치건설기술)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135도 갈고리 대체용 원터치-RC클립(씨에이치건설기술)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863) N
    • D16용 원터치 RC클립 개발과정 및 사용 (28)
    • 계룡그룹 수주 및 사업 (30)
    • 구조VE 및 물량절감 노력 (3)
    • 비정형 (20)
    • 건축구조용어 (80)
    • 건설기술 (80)
    • 모듈러 연구 (2)
    • 건축구조실무큐엔에이 (154)
    • 핵심구조상식2017 (177) N
    • 현대건축의흐름 (22)
    • 건축구조기술사 (13)
    • 산티아고칼라트라바 (1)
    • 구조설계에센스 (0)
    • 원터치RC클립 (3)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30)
    • 산업안전지도사(건설) (44)
    • 건축시공이야기탑다운편 (10) N
    • 전단보강재개발 (0)
    • 합성구조개발 (0)
    • 모듈러구조시스템개발 (0)
    • 건설안전기술사 (39) N
    • 시공메뉴얼 (9) N

검색 레이어

135도 갈고리 대체용 원터치-RC클립(씨에이치건설기술)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건축구조실무큐엔에이

  • 벽체에서 지하층보다 1층의 철근배근이 많을 때 정착길이만 만족하면 되는 지? (출처 : 건축구조실무Q&A)

    2024.10.22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슬래브 복배근시 상하부 철근간격 (출처 : 건축구조실무Q&A)

    2024.10.22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단순보 단부정착 (출처 : 건축구조실무Q&A)

    2024.10.22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최소 전단철근 대상구조물 (출처 : 건축구조실무Q&A)

    2024.10.21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콘크리트 강도 차이가 있는 경우 타설방법 (출처 : 건축구조실무Q&A)

    2024.10.21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비균열벽체와 균열벽체의 구분 (출처 : 건축구조실무Q&A)

    2024.10.20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부재별 최소철근비(1) (출처 : 건축구조실무Q&A)

    2024.10.20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표피철근 (출처 : 건축구조실무Q&A)

    2024.10.20 by 한솔이지현이아빠

벽체에서 지하층보다 1층의 철근배근이 많을 때 정착길이만 만족하면 되는 지? (출처 : 건축구조실무Q&A)

질문 : 구조계산서에 지하층의 벽체 철근이 1층의 벽체 철근보다 적게 배근된 경우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일부 벽체가 지하층보다 1층의 배근이 철근 직경이 크고 간격도 좁게 배근되어 있습니다.(20층 아파트). 이때 1층의 철근정착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상황을 설명드리면, 지하층 벽체배근은 D13@200(수직)이고 1층은 D16@100일때 1. 1층의 D16철근 중 1개는 지하층의 D13철근과 1층 슬래브 상부에서 겹침이음이 이뤄지고 있습니다.(현장여건상). 겹침이음이 1층 슬래브 상부에서 D16에 적합한 이음길이만 확보되어도 되는지요?(지하층에서부터 정착을 시키면 더욱 안전할 것 같아요) 2. 1층의 D16철근 중 또 다른 1개는 지하층과 연결된 철근이 없는 데, 이때 정착은 어떻게 해야 되는지요? ..

건축구조실무큐엔에이 2024. 10. 22. 14:15

슬래브 복배근시 상하부 철근간격 (출처 : 건축구조실무Q&A)

슬래브 복배근시 상하부 철근간격  (출처 : 건축구조실무Q&A) 질문 : 슬래브 배근시 상하부 똑깥이 D10@300 간격으로 배근하게 되어 있는 데, 만약 이것을 상부 하부 교대로 배근해서 간격 D10@150으로 배근을 한다면 달라지는 것이 무엇이며, 구조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 지요? 답변 :  위 2가지 방법 모두 사용가능한 방법이며 구조적으로는 달라지는 거이 없습니다. 상부근은 상부근끼리의 간격이 중요하며, 하부근도 하부근끼리의 간격이 중요합니다. 상부 하부 교대로 배근했어도 간격 @150 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올바른 표현이 아니고 혼돈만 줄 수 있으므로 철근간격(상부근은 상부근끼리 하부근은 하부근끼리) @300이라고 표현합니다. 출처 : 건축구조실무Q&A(사단법인 한국건축구조기술회 / 2012) ..

건축구조실무큐엔에이 2024. 10. 22. 09:05

단순보 단부정착 (출처 : 건축구조실무Q&A)

단순보 단부정착  (출처 : 건축구조실무Q&A) 질문 :  양단핀의 작은보를 큰보에 22mm 철근으로 정착할 경우 정착길이를 얼마로 봐야 하는 지요?  보정계수 적용시 에 따르면 소요철근비를 적용할 경우, fy를 확보하지 않아도 될 경우라고 되어 있는 데, 보 단부를 핀으로 해석할 경우 영인데 이 경우 적용 가능한 것인 지, 아니라면 어느 조건에 적용이 가능한지요? 설계측에서 큰 보 폭을 250mm로 적용을 원해서 문의드립니다. 답변 :  단순보의 단부철근도 적절히 정착되어야 함. 단순보에서 인장철근의 끝이 제대로 정착되지 않으면 지점에서 지점에서 철근이 빠져 급작스런 파괴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비록 지점에서 모멘트의 크기는 영이지만 전단력은 최대이고 부착응력은 상대적으로 클 수도 있습니다. 단순보의 ..

건축구조실무큐엔에이 2024. 10. 22. 08:45

최소 전단철근 대상구조물 (출처 : 건축구조실무Q&A)

최소 전단철근 대상구조물  (출처 : 건축구조실무Q&A) 질문 :  "계수전단력 Vu가 콘크리트 허용전단력의 1/2을 초과하면 최소전단철근 Av=3.5bws/fy를 배근토록 되어 있는 데, 슬래브와 기초판을 제외한다."라고 규정이 있습니다. 그런데, 주상복합구조물에서 진이층을 거더형태가 아닌 슬래브 형태로 설계했을 때, 이 전이층 슬래브(Transfer Plate)를 위에서 언급한 일반 슬래브로 보아 최소 전단철근을 배근하지 않아도 되는지요? 참고로, 해당 건물은 42층 높이에 상부는 벽식, 하부는 라멘구조이며, 전이층 슬래브 두께는 1800~2400mm, 기둥간격은 6mx6m입니다. 답변 :  전이슬래브는 최소 전단철근을 배근하지 않아도 됨. 슬래브와 기초판, 바닥판 장선, 폭이 넓고 깊이가 얕은 보는..

건축구조실무큐엔에이 2024. 10. 21. 15:26

콘크리트 강도 차이가 있는 경우 타설방법 (출처 : 건축구조실무Q&A)

콘크리트 강도 차이가 있는 경우 타설방법  (출처 : 건축구조실무Q&A) 질문 :  콘크리트 강도 차가 있을 경우, 타설에 관한 질문입니다. (건축공사표준시방서)에 의거하면, "수직부재에 타설하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수평부재에 타설하는 콘크리트의 강도 차가 1.4배 이상일 경우에는 수직부재에 타설한 고강도콘크리트는 수직-수평부재의 접합면으로부터 수평부재 쪽으로 안전한 내민 길이를 확보해야 한다."라고 되어 있는 데, 1..4배 이하일 경우에는 기둥과 보의 교차부는 수평부재의 강도로 시공해도 구조적인 문제가 없을 까요? 답변 :  수직, 수평부재의 강도 차이가 1.4배 이상 차이가 날 경우 기준의 바닥판구조를 통한 기둥하중의 전달에 따르면, 기둥콘크리트 강도가 바닥판구조의 콘크리트 강도보다 1.4배 이하인 ..

건축구조실무큐엔에이 2024. 10. 21. 09:00

비균열벽체와 균열벽체의 구분 (출처 : 건축구조실무Q&A)

비균열벽체와 균열벽체의 구분  (출처 : 건축구조실무Q&A) 질문 : 기준의 확대휨모멘트에 대한 부분에서 벽체의 단면2차모멘트는 비균열벽체와 균열벽체로 구분되어 있는 데 어떻게 구분해서 사용해야 되는 지요? 답변 :  건물의 횡력해석시 적용되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휨강성은 탄성계수(Ec)와 총단면적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Ig)에 의하여 계산된 값보다 작은 강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단면2차모멘트의 변화를 주는 크리프, 건조수축 도는 휨에 의한 균열은 휨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벽체의 경우도 변형에 따른 균열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저감된 휨강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로스만(Jacobs S. Grossman)씨의 경우, 골조와 함께 사용된 전단벽에서 전체 건물 높이의 하부 1/..

건축구조실무큐엔에이 2024. 10. 20. 22:57

부재별 최소철근비(1) (출처 : 건축구조실무Q&A)

부재별 최소철근비(1)  (출처 : 건축구조실무Q&A) 질문 :  휨재 최소철근비는 0.0035(fy=400MPa, fck=24MPa에서)입니다. 기준 해설에는 취성파괴를 막기 위한 것이라고 서술되어 있습니다. 기준 해설에서는 취성파괴를 막기 위한 것이라고 서술되어 있습니다. 압축측에도 최소 철근을 넣어야 하는 것을 생각하면 단면적 대비 최소 0.007입니다.  하지만, 슬래브 최소철근비는 0.002입니다. 슬래브도 휨재이고, 사실상 보와 같은 방법으로 설게, 검토하는 것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슬래브는 취성파괴해도 되나요?슬래브는 취성파괴하지 않은 건가요? 1차 부재(보)와 2차 부재(슬래브)의 차이인가요? 답변 :  휨재의 최소철근비는 기준에 따름. 1. 휨재의 최소철근비는 갑작스런 취성파괴..

건축구조실무큐엔에이 2024. 10. 20. 18:34

표피철근 (출처 : 건축구조실무Q&A)

표피철근  (출처 : 건축구조실무Q&A) 질문 :  전체 깊이가 900mm를 초과하는 휨재에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휨인장력의 전깊이(개량 보의 유효깊이의 1/2)에 걸쳐서 길이방향으로 추가 철근을 복부 측면 가까이에 배근하는 데, 철근량 Ask=(d-750)mm^2 (한쪽면에, 단위 m), 배치사항 d/6, 300mm이하 규정에서 한쪽 면이라는 것이 인장부분(d/2)의 한쪽면인지, 아니면 인장, 압축부분 관계없이 한쪽면(d)에 상기 철근량을 배근해야 하는 지요? 답변 :  표피철근 산정 및 배근방법 표피철근은 상대적으로 깊은 휨부재에서 복부의 균열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인장영역의 수직표면 가까이에 철근을 배근합니다. 이러한 보조철근을 사용하지 않으면 보 중심부 웨브의 균열폭이 휨인장철근이 배근된 위..

건축구조실무큐엔에이 2024. 10. 20. 12:3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20
다음
TISTORY
135도 갈고리 대체용 원터치-RC클립(씨에이치건설기술)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