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도 갈고리 대체용 원터치-RC클립(씨에이치건설기술)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135도 갈고리 대체용 원터치-RC클립(씨에이치건설기술)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930) N
    • D16용 원터치 RC클립 개발과정 및 사용 (28)
    • 계룡그룹 수주 및 사업 (30)
    • 구조VE 및 물량절감 노력 (3)
    • 비정형 (20)
    • 건축구조용어 (80)
    • 건설기술 (80)
    • 모듈러 연구 (3)
    • 건축구조실무큐엔에이 (154)
    • 핵심구조상식2017 (186)
    • 현대건축의흐름 (22)
    • 건축구조기술사 (13)
    • 산티아고칼라트라바 (1)
    • 구조설계에센스 (0)
    • 원터치RC클립 (3)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30)
    • 산업안전지도사(건설) (44)
    • 건축시공이야기탑다운편 (30) N
    • 전단보강재개발 (0)
    • 합성구조개발 (0)
    • 모듈러구조시스템개발 (0)
    • 건설안전기술사 (71)
    • 시공메뉴얼 (13)
홈태그방명록
  • D16용 원터치 RC클립 개발과정 및 사용 28
  • 계룡그룹 수주 및 사업 30
  • 구조VE 및 물량절감 노력 3
  • 비정형 20
  • 건축구조용어 80
  • 건설기술 80
  • 모듈러 연구 3
  • 건축구조실무큐엔에이 154
  • 핵심구조상식2017 186
  • 현대건축의흐름 22
  • 건축구조기술사 13
  • 산티아고칼라트라바 1
  • 구조설계에센스 0
  • 원터치RC클립 3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30
  • 산업안전지도사(건설) 44
  • 건축시공이야기탑다운편 30 N
  • 전단보강재개발 0
  • 합성구조개발 0
  • 모듈러구조시스템개발 0
  • 건설안전기술사 71
  • 시공메뉴얼 13

검색 레이어

135도 갈고리 대체용 원터치-RC클립(씨에이치건설기술)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건설현장 밀폐공간작업시 안전관리 (출처 : 건설안전기술사 / 예문사)

    2025.07.22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탑다운 현장의 기존 지하구조물 철거(1) (출처 : 건축시공이야기 탑다운편 / 바로건설기술)

    2025.07.22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탑다운현장 지하의 어둠과 답답함 (출처 : 건축시공이야기 탑다운편 / 예문사)

    2025.07.22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하천제방 누수원인 (출처 : 건설안전기술사 / 예문사)

    2025.07.21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옹벽 붕괴 원인 (출처 : 건설안전기술사 / 예문사)

    2025.07.21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산업재해 발생구조 4형태 (출처 : 건설안전기술사 / 예문사)

    2025.07.21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작업부하 및 피로의 정의 (출처 : 건설안전기술사 / 예문사)

    2025.07.19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탑다운 현장의 기존 지하구조물 철거(2) (출처 : 건축시공이야기 탑다운편 / 바로건설기술)

    2025.07.19 by 한솔이지현이아빠

건설현장 밀폐공간작업시 안전관리 (출처 : 건설안전기술사 / 예문사)

1. 밀폐공간이란? 가. 밀폐공간은 근로자가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산소결핍, 유해가스로 인한 건강장해와 인화성 물질에 의한 화재푹발 등의 위험이 있는 장소를 말함. 나. 특히, 동절기에 재해발생 건수가 급증하므로 이에 대한 안전대책이 필요 2. 건설현장 밀폐공간 범위 가. 케이블가스관 또는 지하에 부설되어 매설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하에 부설한 암거 맨홀 또는 피트의 내부 나. 빗물, 허천의 유수 또는 용수가 있거나 있었던 통암거, 맨홀 또는 피트의 내부 다. 바닷물이 있거나 있었던 열교환기, 관, 암거, 맨홀, 둑 또는 피트의 내부 라. 장기간 밀폐되었던 강재의 보일러, 탱크, 반응탑이나 그 밖에 그 내벽이 산화하기 쉬운 시설의 내부 마. 천장, 바닥 또는 벽이 건성유를 함유하는 페인트로 ..

건설안전기술사 2025. 7. 22. 17:43

탑다운 현장의 기존 지하구조물 철거(1) (출처 : 건축시공이야기 탑다운편 / 바로건설기술)

도심지에서는 신축을 기다리며 공터로 남아있는 땅은 이제 거의 없음. 대부분 기존의 건축물이 있기 마렴임. 그 건축물에 지하층이 없다면 철거하고 신축하면 되지만 철거할 건물에 지하층이 있다면 건설기술자들에는 큰 숙제가 됨. 도면에 기존 건물의 철거방법이 표현되기도 하지만, 상황에 따라 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음. 특히 탑다운을 적용할 경우에는 철거와 신축을 어떻게 해야 할 지 훨씬 더 깊은 고민을 해야 답이 나오게 됨.1. 기존 지하구조물을 철거후 공사하면.. 가. 기존의 지하구조물이 대지경계선보다 1m이상 안쪽에 위치해 있고, 지하 2층 정도의 깊지 않은 경우는 구조체를 우선 해체하는 것이 일반적임. 나. 임시의 흙막이벽을 기존의 지하구조물과 대지경계선 사이에 설치하고..

건축시공이야기탑다운편 2025. 7. 22. 16:08

탑다운현장 지하의 어둠과 답답함 (출처 : 건축시공이야기 탑다운편 / 예문사)

1. 어둡고 답답한 지하환경 가. 슬래브로 덮인 지하에서 일하는 환경인 탑다운 현장에서도 환기의 필요성이 절실함. 나. 탑다운 현장을 방문해 보면 지하층에서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장비의 디젤기관에서 내뿜는 매연과 철골용접으로 생기는 매캐한 냄새로 가득하고, 그을음이 천정을 시커멓게 만든 경우를 많이 봄. 다. 제대로 된 환기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으면 이런 매연과 유해가스, 먼지, 습기 등으로 인해 숨쉬기가 곤란해지 정도여서 작업의 효율성은 물론 안전과 품질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침. 라. 요즈음은 환기가 제대로 되지 않은 열한 환경에서는 작업자들이 일을 하려하지 않음. 2. 환기시스템 적용 가. 환기시스템에 대해서는 환기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하겠으나 개략적으로 가설 환기 시스템을 계획할 때 고려해..

건축시공이야기탑다운편 2025. 7. 22. 10:32

하천제방 누수원인 (출처 : 건설안전기술사 / 예문사)

하천제방 누수원인 (출처 : 건설안전기술사 / 예문사) 1. 개요 가. 제방(Dyke : 둑)이란 수류를 일정한 유로 내로 제한하고 하천의 범람을 방지할 목적으로 축조되는 구조물을 말함. 나. 제방의 누수원인은 기초지반 및 제방체의 누수로 인한 파이핑 현상이 주원인으로 이에 대한 설계 시공 시의 검토 및 적정한 누수방지대책이 필요함. 2. 누수방지를위한 제방 축제재료의 조건' 가. 흙의 투수성이 낮을 것 나. 흙의 함수비가 증가되어도 비탈이 붕괴되지 않을 것 다. 초목의 뿌리등 유기물이나 율석 등의 굵은 자갈이 포함되지 않을 것. 3. 제방의 누수 발생 원인 가. 기초지반의 누수 나. 제방폭의 과소 다. 파이핑 현상 발생 라. 표토재료의 부적정 마. 제방 비틀면의 다짐불량 바. 차수벽(지수벽) 미설치 4..

건설안전기술사 2025. 7. 21. 16:17

옹벽 붕괴 원인 (출처 : 건설안전기술사 / 예문사)

옹벽 붕괴 원인 (출처 : 건설안전기술사 / 예문사) 1. 개요 가. 옹벽의 붕괴는 설계단계부터 시공 및 유지관리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되므로 나. 각 단계별 안전성 확보와 보수 보강으로 재해방지에 힘써야 함. 2. 철근콘크리트 옹벽의 유형 가. 중력식 - 옹벽 자체의 무게로 토압 등의 오력에 지지하는 형식 나. 반중력식 - 중력식 옹벽의 벽두계를 얇게 하고 이로 인해 인장응력에 저항하기 위해 철근을 배근한 형식 다. 부벽식 - 외벽면에 밖으로 버팀대형식의 벽체(부벽)을 이용한 형식 라. 역T형 캔틸레버식 - 옹벽 배면에 기초 슬래브가 돌출된 형식의 옹벽 마. L형 캔틸레버식 - 한쪽 끝이 고정되고 다른 끝은 받쳐지지 않은 상태의 보를 이용해 재료를 절감하는 형식의 옹벽 3. 옹벽의 붕괴원인 가..

건설안전기술사 2025. 7. 21. 15:12

산업재해 발생구조 4형태 (출처 : 건설안전기술사 / 예문사)

산업재해 발생구조 4형태 (출처 : 건설안전기술사 / 예문사) 1. 개요 가. 국제노동기구는 산재를 업무상 재해나 질병에 국한하지 않고 산업합리화 등에 의한 새로운 형태의 직업병이나 통근 재해까지 포함하여 규정하고 있으며 나. 산업재해의 유형은 국가산업의 변화추이에 따라 제1형부터 제4형으로 분류됨. 2. 발생구조의 4유형 가. 제1형 - 폭발,파열 등 기폭에너지에 의해 발생되는 재해 1) 1-a (가) 산업재해상 산업재행 해당됨 (나) 사고의 결과로 발생되는 산업재해 2) 1-b (가) 제3자의 재해로 산업재해에 해당되지 않은 유형 (나) 기폭에너지가 근로자 이외의 사람에게 충돌한 경우, 산업재해로 분류되지 않음 3) 1-c..

건설안전기술사 2025. 7. 21. 14:20

작업부하 및 피로의 정의 (출처 : 건설안전기술사 / 예문사)

작업부하 및 피로의 정의 (출처 : 건설안전기술사 / 예문사) 1. 정의 가. 작업부하는 크게 신체적 작업부하와 정신적 작업부하로 구분되며, 나. 정신적 작업부하는 주관적 평가도구와 객관적 평가도구로 측정이 가능함. 2. 작업부하 평가방법 가. 신체적 작업 부하평가 : OWAS, RULA, PEBA 나. 정신적 작업부하 평가 1) 주관적 평가 : NASA-TLX(talk load index), SWAT, Cooper Harper Scale 2) 객관적 평가 : EEG, ECG, 호흡수 3. 객관적 평가방법 가. EEG (Electro Encephalo Graphy) : 뇌전계에 의한 뇌파 측정방법 나. ECG (Electro Cardio Graphy) : 심전계에 의한 심장활동 측정방..

건설안전기술사 2025. 7. 19. 22:23

탑다운 현장의 기존 지하구조물 철거(2) (출처 : 건축시공이야기 탑다운편 / 바로건설기술)

탑다운 현장의 기존 지하구조물 철거(2) (출처 : 건축시공이야기 탑다운편 / 바로건설기술) 1. 탑다운으로 지어진 기존 건물의 철거 과정 가. 철거를 시행할 단계별로 상세하게 살펴보면, 첫째가 준비단계임. 기존 건물과 신설될 건물의 도면을 정확하게 중첩시키고 현황측량을 통해 신설될 연속벽과 RCD에 간섭되는 부분을 실측하여 해체할 부분을 정하고 보강 필요여부에 대해 구조검토를 진행했음. 나. 그 결과, 신설 연속벽과 RCD에 간섭되는 기존 지하연속벽이나 매트기초 등은 코어링으로 별도 보강없이 부분철거가 가능하였으나 신설 RCD와 겹치는 기존의 RCD 기초는 파내고 그 부분에는 약간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여 RCD기초의 철거를 피할 수 있음. 다. 둘째, 초기검토와 동시에 불필요한 내부마감재 및 비..

건축시공이야기탑다운편 2025. 7. 19. 19:0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5 6 7 8 9 10 11 ··· 117
다음
TISTORY
135도 갈고리 대체용 원터치-RC클립(씨에이치건설기술)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