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도 갈고리 대체용 원터치-RC클립(씨에이치건설기술)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135도 갈고리 대체용 원터치-RC클립(씨에이치건설기술)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000) N
    • D16용 원터치 RC클립 개발과정 및 사용 (28)
    • 계룡그룹 수주 및 사업 (30)
    • 구조VE 및 물량절감 노력 (3)
    • 비정형 (20)
    • 건축구조용어 (80)
    • 건설기술 (81)
    • 모듈러 연구 (3)
    • 건축구조실무큐엔에이 (154)
    • 핵심구조상식2017 (190)
    • 현대건축의흐름 (22)
    • 건축구조기술사 (17) N
    • 산티아고칼라트라바 (1)
    • 구조설계에센스 (0)
    • 원터치RC클립 (3)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30)
    • 산업안전지도사(건설) (44)
    • 건축시공이야기탑다운편 (42)
    • 전단보강재개발 (0)
    • 합성구조개발 (0)
    • 모듈러구조시스템개발 (0)
    • 건설안전기술사 (107) N
    • 시공메뉴얼 (13)
    • 건축구조학 (3)
    • 건축시공기술사 (10) N
홈태그방명록
  • D16용 원터치 RC클립 개발과정 및 사용 28
  • 계룡그룹 수주 및 사업 30
  • 구조VE 및 물량절감 노력 3
  • 비정형 20
  • 건축구조용어 80
  • 건설기술 81
  • 모듈러 연구 3
  • 건축구조실무큐엔에이 154
  • 핵심구조상식2017 190
  • 현대건축의흐름 22
  • 건축구조기술사 17 N
  • 산티아고칼라트라바 1
  • 구조설계에센스 0
  • 원터치RC클립 3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30
  • 산업안전지도사(건설) 44
  • 건축시공이야기탑다운편 42
  • 전단보강재개발 0
  • 합성구조개발 0
  • 모듈러구조시스템개발 0
  • 건설안전기술사 107 N
  • 시공메뉴얼 13
  • 건축구조학 3
  • 건축시공기술사 10 N

검색 레이어

135도 갈고리 대체용 원터치-RC클립(씨에이치건설기술)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건축구조기술사

  • 지진해석법 (출처 : 건축토목구조기술사 / 예문사)

    2025.09.19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정적해석과 동적해석의 차이점 (출처 : 건축토목구조기술사 / 예문사)

    2025.09.18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지진의 규모와 진도, 내진구조방식 (출처 : 건축토목구조기술사/ 예문사)

    2025.09.17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지진전달원리, 단층활동, 지진피해사례 (출처 : 건축,토목구조기술사 /예문사)

    2025.09.10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합성기둥 (출처 : 철골구조 / 예문사)

    2025.06.04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불완전합성보를 적용하는 목적 (출처 : 철골구조 / 예문사)

    2025.06.04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합성기둥 (출처 : 철골구조 / 예문사)

    2025.05.21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표면파규모 7.0인 지지느이 에너지양이 표면파 규모 7.0인 지진의 에너지양이 규모 5.0인 지진의 에너지양에 몇배인지 산정

    2025.05.12 by 한솔이지현이아빠

지진해석법 (출처 : 건축토목구조기술사 / 예문사)

2019년에 발간된 책에서 복기하는 내용으로 최신기준과 맞지 않은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참고해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지진해석법 내진설계 해석법으로는 지진하중을 등가의 정적하중으로 치환하여 해석하는 등가정척 해석법(등가횡하중 해석법)과 응답스펙트럼이나 모드중첩을 이용하는 유사동적 해석법(동적횡하중 해석법) 등이 있음. 가. 등가정적 해석법 1) 최대지진 가속도와 중력가속도의 비로 산정되는 가속도계수를 지진응답계수로 변환하여 등가의 정적하중을 산정하는 것을 등가정적 해석법이라 함. 2) 가속도계수는 다음과 같음. 건축물 설계기준(KBC)에 따른 등가정적 해석법은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음. (가) 지진구역 및 지역계수 (나) 지반의 분류 (이부분의 내용은 내용이 개정되었음. 참고)(다) 설계..

건축구조기술사 2025. 9. 19. 09:42

정적해석과 동적해석의 차이점 (출처 : 건축토목구조기술사 / 예문사)

1. 정의 가. 구조동역학이란? 시간에 따라 변하는 동적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동적응답(변위, 속도, 가속도 등)을 구하는 학문이며,나. 동적응답으로 유발되는 탄성력, 관성력, 감쇠력을 산정하여 동적하중에 견디는 구조물을 설계하기 위하여 이용됨. 2. 정적해석과 동적해석의 비교 가.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은 정하중과 동하중으로 분류할 수 있음. 나. 정하중과 동하중에 의한 구조물의 정적해석과 동적해석의 차이점은 아래와 같음.

건축구조기술사 2025. 9. 18. 17:47

지진의 규모와 진도, 내진구조방식 (출처 : 건축토목구조기술사/ 예문사)

1. 지진의 규모와 진도 가. 규모(Magnitude) 1) 지진의 전원에서 방출된 에너지의 크기를 정량적으로 표현한 것을 지진의 규모라 함. 2) 규모는 진앙지에서 100km떨어진 지점에서 지진계로 지진파의 최대진폭을 마이크로 단위(1/1000mm)로 측정하여 상용대수(log10)로 나타낸 값으로, 통상 리히터(Richter) 지진규모를 말함. 3) 리히터 지진계로 진도 6의 지진이 발생했다는 것은 리히터 스케일로 진원지에서 규모 6의 지진이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함.나. 진도(Intensity) 1) 지진에 의한 자연과 인체에 대한 피해의 정도를 등급으로 분류하여 나타낸 것을 진도라 함. 2) 통상 수정메르칼리 진도등급(MMI : Modified Mercalli Intensity)을 많이 사용하여 12..

건축구조기술사 2025. 9. 17. 17:06

지진전달원리, 단층활동, 지진피해사례 (출처 : 건축,토목구조기술사 /예문사)

1. 지진전달 원리 가. 지각판 마찰로 발생하는 지진에너지는 지진파라는 파동으로 전달됨. 나. 지진파는 파의 전달형식과 속도에 따라 P파(Primary Wave)와 S파(Secondary Wave), L파(Love Wave)로 나눔 다. 가장 먼저 도달하는 P파는 수평방향의 에너지를 전달하는 종파이며, S파는 수직을 이루며 진행하는 횡파이고, 라. L파는 지진에너지가 지표면에 전달되는 표면차로 수직움직임은 없고, 표면의 S자 모양의 수평움직임만 전달되는 파임. 마. Rayleigh파는 표면파로 바다의 파도와 같은 파임. 바.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에너지를 전달하며 입자의 운동은 타원운동이며, 진폭은 깊이에 따라 자수적으로 감수함. 사. 지진파는 지구 내부를 통과할 때 물질의 밀도나 성질에 따라 속도가 ..

건축구조기술사 2025. 9. 10. 16:02

합성기둥 (출처 : 철골구조 / 예문사)

합성기둥 (출처 : 철골구조 / 예문사) 아래 그림과 같이, 축하중이 작용할 때 합성기둥의 적정성을 한계상태설계법으로 검토하고 Shear Stud (지름19mm)의 소요개수와 간격 계산 합성기둥의 설계 1. 소요강도 2. 구조제한 검토 - 콘크리트 강도, 강재 및 철근의 항복강도, 강재비, 주철근비, 띠철근 간격검토 3. 합성단면의 단면성능 산정 - 철근, 콘크리트 4. 설계압축강도 산정 1) Pno 2) 합성단면의 유효강성 EIeff 3) Pe 4) 공칭압축강도 산정 5. 안정성 검토 6. 스터드앵커 검토 1) 축하중 전달을 위한 소요전단력 (외력이 직접 매입콘크리트에 가해지는 경우로 가정) 2) Shear Stud (지름19) 1개의 공칭강도 3) Shear Stud (지름19) 소요개..

건축구조기술사 2025. 6. 4. 16:33

불완전합성보를 적용하는 목적 (출처 : 철골구조 / 예문사)

불완전합성보를 적용하는 목적 (출처 : 철골구조 / 예문사) 1. 완전합성보와 불완전합성보의 정의 가. 완전합성보 1) 강재보와 콘크리트 슬래브가 완전한 합성작용을 할 수 있도록 시어커넥터가 충분히 사용된 합성보를 말함. 2) 합성단면이 전내력을 발휘할 때까지 시어커넥터가 파괴되지 않도록 구성된 보를 말함. 3) 이때, 최대 정모멘트점과 영(0)모멘트점 사이의 총 수평전단력 Vs는 다음 중 작은 값으로 함. 다만, 작은 보를 불완전합성보로 설계할 경우, 상기 수평전단력 값을 50%까지 저감할 수 있음 나. 불완전합성보 1) 강재보와 콘크리트 슬래브가 완전한 합성작용을 하여 합성단면이 전 내력을 발휘하기 이전에 시어커넥터가 파괴되는 경우를 말함. 2. 불완전합성보를 사용하는 경우 가. 콘크리트 경화전 ..

건축구조기술사 2025. 6. 4. 15:05

합성기둥 (출처 : 철골구조 / 예문사)

합성기둥 (출처 : 철골구조 / 예문사) KBC2016을 기반으로 기술된 서적에서 가지고 온 내용으로 최신기준과 맞지 않는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참고해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적용범위 1) 이 규정은 철근콘크리트 단면 내에 강재 형강이 매입된 매입형 합성기둥과 강관 단면내에 콘크리트를 충천한 충전형 합성기둥에 적용함. 2) 합성기둥의 단면형상은 2축 대칭형이어야 하며, 전체 길이에 걸쳐 등단면이어야 함. 3) Fy는 650MPa 이하,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는 21MPa이상 70MPa이하로 제한함. 2. 구조 제한 1) 매입형 합성기둥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함. (1) 강재 코어의 단면적은 합성기둥 총 단면적의 1% 이상으로 함. (2) 강재 코어를 매입한 콘크리트는 연속된 길이방향..

건축구조기술사 2025. 5. 21. 16:31

표면파규모 7.0인 지지느이 에너지양이 표면파 규모 7.0인 지진의 에너지양이 규모 5.0인 지진의 에너지양에 몇배인지 산정

표면파규모 7.0인 지지느이 에너지양이 표면파 규모 7.0인 지진의 에너지양이 규모 5.0인 지진의 에너지양에 몇배인지 산정 표면파 규모 에너지 산정식 : Log E = 11.8+1.5Ms (E는 에너지 단위로 erg, Ms는 표면파규모) - 표면파 규모 : Surface Wave Magnitude) 1. 규모 7.0의 에너지양 : Log E = 11.8+1.5X7.0=22.3, 그러므로 E = 10^22.3erg 2. 규모 5.0의 에너지양 : Log E = 11.8+1.5X5.0=19.3, 그러므로 E = 10^19.3erg 따라서, 규모 7.0은 5.0에 비해 1000배의 지진에너지를 갖음 표면파 규모 ; 절대적 개념, 에너지가 수치로 표현, 아라비아 숫자 소수점 1까지 표현 진도 : 상대적..

건축구조기술사 2025. 5. 12. 11:4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TISTORY
135도 갈고리 대체용 원터치-RC클립(씨에이치건설기술)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