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강구조 내화피복공사 (출처 : 건축시공학 / 한솔아카데미)

건설기술

by 한솔이지현이아빠 2025. 3. 19. 09:50

본문

728x90

강구조 내화피복공사 (출처 : 건축시공학 / 한솔아카데미)

 

강구조용 강재의 융점은 1500도로 온도가 500~600도가 되면 응력이 50%로 저하되고 800도이상이면 응력이 제로 상태가 됨.

강구조를 화재나 열로부터 보호하여 강재의 온도 상승을 막아 내력 저하를 허용한계 이내로 할 목적으로 강구조에 내화피복을 함.

강재의 허용온도는 아래 표와 같음.

강재의 허용온도

 

화재시 건물내부에 있는 사람들이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일정시간 동안 강구조 부재의 온도가 상승하지 않게 강구조 부재에 적절한 방법으로 내화피복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내화성능은 1시간 내화, 2시간 내화가 있으며 층수 및 구조 부위에 따라서 내화시간이 정해져 있음.

내화구조의 성능기준



내화피복공법에는 습식공법, 건식공법, 합성공법, 복합공법 등이 있으며, 표의 내화구조의 성능기준, 건축물의 용도 등에 맞는 공법을 선정함.


1.  습식공법

1) 타설공법 

- 강구조 부재 주위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경량콘크리트나 모르타르 등을 타설하는 공법을 말함.

- 까다로운 접합부가 없을 경우, 시공이 용이하고 안전도가 높지만 타설과 양생에 시간이 걸리고 균열이 발생하기 쉬움.

2) 뿜칠공법

- 강재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질석(Vermiculite), 암면 등의 내화재를 도포하는 공법임.

- 가격이 싸고, 복잡하거나 부정형한 형태에 적용할 수 있으나 피복두께 및 밀도의 관리가 어려움.

- 또한 뿜칠재의 비산은 공해의 원인이 됨.

뿜칠공사



3) 미장공법

- 강구조 부재에 메탈 라스나 용접철망을 부탁하여 단열 모르타르로 미장하는 공법을 말함.

- 비교적 신뢰성이 높지만 작업 소요기간이 길고 넓은 면적의 시공이 곤란함.


4) 조적공법

- 콘크리트 블록, 벽돌, 석재 등을 초적하는 방법으로 충격에 비교적 강하고 박리의 우려가 없지만 시공기간이 길어짐.



2. 건식공법 (성형판 붙임공법)

- PC판,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판, 규산칼슘판, 석면성형판 등 내화 단열성능이 우수한 경량의 성형판을 접착제나 연결철물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공법임.

- 작업능률이 좋고 품질관리도 용이하나, 시공도중 재료의 파손이나 절단 가능성이 높음.



3. 합성공법

- 이종재료의 적층이나 이질재료의 접합으로 일체화하여 내화성능을 발휘하는 공법을 말함.

1) 이종재료 적층공법 : 건식, 습식 공법의 단점을 보완하여 바탕에 규산칼숨판을 부착하고, 상부에 플라스터(Plaster)로 마무리함.

2) 이질재료 접합공법 : 초고층 건물의 외벽공사를 경량화할 목적으로 공업화 제품을 사용하여 내부 마감제품과 이질재료를 접합하는 공법을 말함.



4. 복합공법

- 하나의 제품으로 2개의 기능을 충족시키는 공법으로 마감재(커튼월, 천장공사)와 내화피복기능을 모두 충족할 수 있음.

1) 외벽 ALC패널 : 외벽 마감과 내화피복 성능

2) 천장 멤브레인 공법 : 흡음성과 내화피복 성능

 

내화피복공법의 종류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