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기계적 이음의 인장성능 판정기준 (출처 : 건축구조 토질기초의 A to Z)

건설기술

by 한솔이지현이아빠 2025. 1. 13. 14:59

본문

728x90

기계적 이음의 인장성능 판정기준 (출처 : 건축구조 토질기초의 A to Z)

ㅇ 내용은 최신기준이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참고해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요사이 현장에서 원터치커플러 사용에 대해 논의가 많아서 공부차원에서 복기해봅니다.




기계적 이음의 인장성능 판정 기준


아직까지 국내에는 철근 기계적 이음의 인장성능과 현장에서의 품질관리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지침은 없는 실정이다. ​

 

(현재 기준에는 명시되어 있습니다. 명시된 기준도 아래 내용을 크게 벗어나지 않아서 있는 그대로 올립니다.)

​따라서 본 절에서는 대한주택공사 연구소가 수행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작성한 기계적 이음의 인장성능 기준을 요약, 제시하였다.

​참고로 여기에 제시된 내용은 대한주택공사의 연구 보고서인 "철근 기계적 이음의 설계 시공 지침"에서 발췌한 것으로, 이 보고서에 가스압접이음을 제외한 나사가공이음, 압착이음, 용융금속 충전이음 및 편체식 이음에 대한 설계 및 시공방법에 대하여 자세하게 명시되고 있다.

​철근 기계적 이음의 인장실험시 다음 사항을 체크하여 이를 만족할 경우, 그 이음은 이음하지 않은 철근과 동등 이상의 내력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 인장강도

​1) 정적 인장실험 후 이음 시험체 각각에 대한 인장강도가 모재 공칭 항복강도의 125% 이상

​2) 6개 이음시험체의 평균 인장강도가 모재의 실제 인장강도의 90%이상 또는 모재 공칭 인장강도의 100%이상


2. 잔류변형량 

이음시험체에 모재 공칭 항복강도의 90%까지 응력을 재하한 후 동 5%까지 재하한 상태에서 측정한 잔류변형량이 0.3mm이하


3. 모재 파단​

​정적 인장실험후 이음시험체의 파단위치는 이음 연결구 이외의 부분이어야 하고 철근이 연결구로부터 인발 파단되지 않아야 함.

​​

최근 개정된 기계식이음 품질관리 업무지침 내용 첨부합니다. 참고하세요

 

 

 

 

 

 

 

[별표 2] 건설공사 품질시험기준(제8조제1항 관련)(건설공사 품질관리 업무지침).pdf
0.44MB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