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철근의 가공 (출처 : 건축시공학 /한솔아카데미)

건설기술

by 한솔이지현이아빠 2025. 1. 16. 23:49

본문

728x90

철근의 가공 (출처 : 건축시공학 /한솔아카데미)

 

철근의 현장에서 가공하는 경우가 많지만, 최근에는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공장에서 생산 가공후 현장에 반입하여 설치(프리패브화)하는 작업형태로 전환되고 있음.

철근의 가공은 절단, 구부리기, 조립으로 구분됨

1. 철근 절단

필요한 크기로 철근을 자르는 것으로 절단하기 위해 설계도에 의거하여 정확하게 현치도 및 가공도를 작성하고 이에 명시된 치수 및 형상에 맞추어 절단기로 절단함.

2. 철근 구부리기

굴곡기를 사용하며 지름 25mm 이하는 상온에서, 지름 28mm이상은 가열하여 구부림

1) 원형철근 말단부에는 반드시 갈고리를 설치함

2) 이형철근은 부착력이 크므로 말단의 갈고리를 생략할 수 있지만 보 및 기둥의 단부, 대근 및 늑근, 굴뚝의 주근에는 갈고리를 설치함.

철근 중간부의 구부림 형상 및 치수

 

철근 단부의 구부림 형상 및 치수


3. 철근 프리패브공법 (Prefabrication)

골조공사에 사용하는 철근을 기둥, 보, 바닥, 벽 등 사용 부위별로 미리 공장에서 제작하여 운반 후 현장에서 조립하는 공법임.

현장작업 감소로 공기가 단축되며 공업화 생산으로 괸리가 용이하나 제품의 규격화가 필요함.


1) 기둥 및 보 철근의 프리패브화

(1) 철근 선 조립 공법

철근 유닛을 공장이나 현장내 가공장에서 미리 조립하고 이를 거푸집 공사에 선행하여 기둥이나 보 등 부재별로 소요 위치에 설치하는 방법으로 공사기간이나 배근 정밀도 측면에서 양질의 시공을 기대할 수 있음.

(2) 철근 후 조립 공법

거푸집 시공후 철근 유닛을 조립하는 공법으로 재래식 공법과 유사하며 철근 선조립의 장점을 살린 공법으로 선조립 철근을 거푸집 안에 내려놓는 방법임.


이 두가지 공법 적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의하여야 함

-  부재를 표준화하여 거푸집의 전용, 작업의 표준화, 자재의 전용 등을 높임

- 주근의 지름을 크게하고, 고강도화하여 이음부의 수를 감소시킴.

- 철근 유닛을 현장에서 가공하는 경우에는 철근의 저장, 조립장소와 조립후 저장 장소가 필요하며, 공장조립의 경우에는 운반시 부피가 커지는 것을 고려해야 함. 

  그리고, 철근 유닛이 운반, 양중 과정에서 변형되지 않도록 강성을 검사함.

- 철근 유닛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대형 양중장비가 필요하므로 가설공사와 거푸집공사, 철골공사 등을 포함하여 양중장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계획함.

 


2) 벽 및 바닥 철근의 프리패브화

철근이나 철선을 미리 격자형태로 조립한 용접철망을 슬래브 또는 벽과 같은 평면 부재의 소요위치에 배근하는 공법임.

용접망은 소쟁 따라 철근격자망과 용접철망으로 구분되며, 주로 철선으로 구성된 용접철망을 이용함

철근 프리패브화의 장점은 다음과 같음

- 선조립된 용접철망 시트를 현장에 설치하므로 기존 배근공사에 비해 시간과 현장 노무량이 절감됨.

- 숙련된 철근공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인건비가 절감됨

- 배근간격과 위치가 정확하여 시공품질이 향상됨

- 배근완료 후 수행되는 부대작업(전기, 기계설비 공사)이나 콘크리트 타설시 배근의 흐트러짐이 적음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