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도 갈고리 대체용 원터치-RC클립(씨에이치건설기술)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135도 갈고리 대체용 원터치-RC클립(씨에이치건설기술)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971) N
    • D16용 원터치 RC클립 개발과정 및 사용 (28)
    • 계룡그룹 수주 및 사업 (30)
    • 구조VE 및 물량절감 노력 (3)
    • 비정형 (20)
    • 건축구조용어 (80)
    • 건설기술 (81)
    • 모듈러 연구 (3)
    • 건축구조실무큐엔에이 (154)
    • 핵심구조상식2017 (190) N
    • 현대건축의흐름 (22)
    • 건축구조기술사 (13)
    • 산티아고칼라트라바 (1)
    • 구조설계에센스 (0)
    • 원터치RC클립 (3)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30)
    • 산업안전지도사(건설) (44)
    • 건축시공이야기탑다운편 (41)
    • 전단보강재개발 (0)
    • 합성구조개발 (0)
    • 모듈러구조시스템개발 (0)
    • 건설안전기술사 (93) N
    • 시공메뉴얼 (13)
    • 건축구조학 (3) N
홈태그방명록
  • D16용 원터치 RC클립 개발과정 및 사용 28
  • 계룡그룹 수주 및 사업 30
  • 구조VE 및 물량절감 노력 3
  • 비정형 20
  • 건축구조용어 80
  • 건설기술 81
  • 모듈러 연구 3
  • 건축구조실무큐엔에이 154
  • 핵심구조상식2017 190 N
  • 현대건축의흐름 22
  • 건축구조기술사 13
  • 산티아고칼라트라바 1
  • 구조설계에센스 0
  • 원터치RC클립 3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30
  • 산업안전지도사(건설) 44
  • 건축시공이야기탑다운편 41
  • 전단보강재개발 0
  • 합성구조개발 0
  • 모듈러구조시스템개발 0
  • 건설안전기술사 93 N
  • 시공메뉴얼 13
  • 건축구조학 3 N

검색 레이어

135도 갈고리 대체용 원터치-RC클립(씨에이치건설기술)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진도 및 규모 (출처 : 역학및하중시스템)

    2024.11.06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고층건물에서의 바람영향(4) (출처 : 역학및하중시스템)

    2024.11.05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고층건물에서의 바람영향(3) (출처 : 역학및하중시스템)

    2024.11.05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고층건물에서의 바람영향(2) (출처 : 역학및하중시스템)

    2024.11.05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고층건물에서의 바람영향(1) (출처 : 역학및하중시스템)

    2024.11.05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용접부의 결함(2) (출처 : 2017 핵심구조상식)

    2024.11.04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용접부의 결함(1) (출처 : 2017핵심구조상식)

    2024.11.03 by 한솔이지현이아빠

  • 밑면전단력 산정 (출처 : 역학및하중시스템)

    2024.11.03 by 한솔이지현이아빠

진도 및 규모 (출처 : 역학및하중시스템)

진도 및 규모 (출처 : 역학및하중시스템)  1. 진도(lntensity)의 정의 1)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가장 오래된 척도이며 역사적 지진의 크기를 추정할 때도 활용 2) 임의 장소에서 지반진동의 크기를 사림이 느끼는 감각, 주위의 물체, 구조물 및 자연계에 대한 영향을 계급별로 분류시킨 상대적 개념의 지진크기 3) 진도는 정수단위의 로마숫자(II, III, IV등)로 표기 4) 진도의 종류 (1) 미국 : 12등급의 수정머켈리(Modified Mercall, MM) 진도 (2) 중동부 유럽 : MSK(Medvedev Spoonheuer-Karnik)진도 (3) 일본 : 8등급의 기상청(Japan Meteorological Agency, JMA)진도 * 수정머켈리 진도(Modified Mercall..

건축구조용어 2024. 11. 6. 13:52

고층건물에서의 바람영향(4) (출처 : 역학및하중시스템)

고층건물에서의 바람영향(4) (출처 : 역학및하중시스템)  4. 빌딩풍 고층빌딩 사이에 일어나는 풍해, 지상 150m 이상의 빌딩이 건립되면 상공에서는 바람이 일정방향으로 불어도 아래쪽에서는 바람이 빌딩의 주위에서 소용돌이치고 급강하하거나 풍속이 2배 이상으로 빨라지기도 하며 때로는 무풍 상태가 된다. 이때문에 간판이나 지붕이 날려가거나 전이 끊어질 때도 있다.  또, 연기나 배기가스가 소용돌이현상으로 지상에 흘러서 국지적인 대기오염이 발생하여 고층빌딩이 밀집한 대도시의 새로운 도시공해로 나타난다. 빌딩풍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1) 와류 : 소용돌이형태의 바람 (2) 관통풍 : 고층건물과 고층건물의 사이에 풍속이 증가하는 현상 (3) 계곡풍 : 바람이 건물에 부딪쳐 저층부에서 지상방향을 발생되..

건축구조용어 2024. 11. 5. 17:10

고층건물에서의 바람영향(3) (출처 : 역학및하중시스템)

고층건물에서의 바람영향(3) (출처 : 역학및하중시스템) 3. 바람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1) 설계단계 (1) 공기역학적 디자인 가. 건물 모서리의 기하학적 형상  건물평면에서 모서리가 둥근 형태를 가질수록 풍방향 및 풍직각방향 반응이 감소 나. 건물높이에 따라 단면적 감소 높이에 따라 평면에 변화를 주거나 상부로 올라갈수록 평면의 크기가 줄어드는 경우, 풍직각방향 성능이 증가한다.(Tapering Effect) 다. 개구부의 추가 건물의 상층부에 건물을 완전히 통과하는 개구부를 두는 경우 와려진(Vortex Shedding)에 의한 힘과 풍직각방향의 동적반응이 줄어들계 된다. 그러나, 하부에 개구부를 두게 되면 거주성에 안좋은 영향을 미친다. (2) 질량, 강성, 감쇠의 조정 가. 건물의..

건축구조용어 2024. 11. 5. 15:57

고층건물에서의 바람영향(2) (출처 : 역학및하중시스템)

고층건물에서의 바람영향(2) (출처 : 역학및하중시스템)  2. 풍하중에 의한 고층건물의 사용성(거주성능) 평가방법 및 기준 1) 사용성 평가방법 (!) 풍하중에 의한 사용성 평가는 최상층 수평변위가 아니라, 풍하중에 의한 가속도 응답이다. (2) 풍하중이 건물에 작용할 때 발생하는 적은 진폭의 진동에서도 발생하는 가속도를 거주자가 지각하게 되면 신체적인 어지러움, 불안감, 편두통 등이 발생하게 된다. (3) 고층건물의 사용성 평가는 일반적으로 건물의 사용용도에 따라 평가기준이 다르다. (주거전용 건물의 경우, 보다 엄격한 응답가속도 값으로 제어되어야 한다.) 2) 사용성 평가기준 (1) NBCC(캐나다 기준, 1995) : 미국, 캐나다, 유럽 쪽에서 주로 사용 (2) Tentative Guide Li..

건축구조용어 2024. 11. 5. 07:50

고층건물에서의 바람영향(1) (출처 : 역학및하중시스템)

고층건물에서의 바람영향(1) (출처 : 역학및하중시스템) 1. 고층건물의 구조설계시 풍하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진동현상 1) 건축구조물에서 고려하는 바람에 의한 하중 바람은 구조물에 3축방향으로 모두 영향을 준다.(항공기) 그러나, 건축물의 경우에는 바람이 부는 방향과 그 직각방향의 힘이 지배적이므로 주로 2축 방향의 힘을 고려하게 된다. 2) 풍하중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진동현상 (1) 풍하중 진동  낮은 풍속(22.3~26.8m/s)에서는 건물 측면에 동시에 와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건물이 횡방향으로 진동할 우려가 없다. 따라서 낮은 풍속에서는 풍방향 진동의 영향을 받는다. (2) 풍직각방향 진동 높은 풍속에서 와류는 처음에 한쪽면에서 발생하고 교대로 다른 쪽 면에서 발생한다. 이런 현상이 일어날..

건축구조용어 2024. 11. 5. 00:24

용접부의 결함(2) (출처 : 2017 핵심구조상식)

용접부의 결함(2)  (출처 : 2017 핵심구조상식) 5. 블로우 홀(Blow Hole : 기포) 함입 1) 그림과 같이 용접 후 냉각시 용접부위에 공기가 포함되어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2) 이러한 결함은 너무 높은 전류를 사용하거나 너무 긴 아크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데, 적정한 전류와 아크 길이를 산정하고 충분히 건조된 용접봉을 사용하여야 한다.  6. 불완전 용입 1) 맞댄용접에서 융착금속이 덜 채워져 있는 것으로 홈의 설계가 잘못되어 발생할 수 도 있고, 용접봉이 너무 길거나, 용접속도가 너무 빠르거나 용접전뉴가 불충분하여 발생할 수도 있다. 2) 홈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간격을 넓히고 홈 각도에 적합한 크기의 용접봉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lag가 선행하지 않도록 용접속도를 조절하며 ..

핵심구조상식2017 2024. 11. 4. 10:38

용접부의 결함(1) (출처 : 2017핵심구조상식)

용접부의 결함(1) (출처 : 2017핵심구조상식) 안녕하세요... 실무를 하다보면 가장 상식적인데 잊어먹기 쉬운 용접부 결함에 대해서 복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용접 접합부에 나타나는 결함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 데, 그 중 중요한 결함에 대해 발생 원인 및 방지대책에 주로 공부해보겠습니다. 1. 변형  용접부의 수축 때문에 용접이음매는 용접선방향 또는 용접선에 수직한 방향의 수축, 각 변화 등의 변형을 일으키며, 이 변형을 구속하면 잔류응력이 생긴다. 이러한 잔류응력은 부재의 내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2. 오버랩(Over Lap) 1) 용융금속이 넘쳐서 표면에 융합되지 않은 상태로 덮여 있을 때, 이를 오버랩이라 하여 이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거나 부식이 촉진될 수 있다. 2) 옹졉전류가 적거..

핵심구조상식2017 2024. 11. 3. 21:02

밑면전단력 산정 (출처 : 역학및하중시스템)

밑면전단력 산정 (출처 : 역학및하중시스템)  안녕하세요... 공부차원에서 밑면전단력의 산정에 대하여 복기해보겠습니다.    1)  2) W(고정하중과 아래에 기술된 하중을 포함한 유효건물중량) (1) 창고로 쓰이는 공간에서는 활하중의 최소 25% (공용 차고와 개방된 주차장 건물의 경우 활하중은 포함시킬 필요가 없음) (2) 바닥하중 산정시 칸막이 하중이 포함될 경우, 칸막이의 실제중량과 0.5kN/m^2중 큰 값 (3) 영구설비의 총 하중 (4) 적설하중이 1.5kN/m^2이 넘은 평지붕의 경우, 평지붕 적설하중의 20% 출처 : 역학및하중시스템

건축구조용어 2024. 11. 3. 16:3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75 76 77 78 79 80 81 ··· 122
다음
TISTORY
135도 갈고리 대체용 원터치-RC클립(씨에이치건설기술)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