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말뚝박기에서 허용오차 및 오차발생에 따른 조치요령 (출처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by 한솔이지현이아빠 2025. 4. 1. 18:46

본문

728x90

말뚝박기에서 허용오차 및 오차발생에 따른 조치요령 (출처 : 2018 건축구조 문제해결)

 

<답변>

설계위치에서 벗어난 경우, 수직시공이 안된 경우, 중파된 경우 등에 대하여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보강조치를 함. 단, 정밀한 구조검토에 의한 의할 경우 별도 방침에 따름


1. 설계위치에서 벗어난 경우

- 설계위치에서 벗어난 거리가 150mm를 초과한 경우에는 구조검토를 하여 추가항타 및 기초를 보강

- 독립기초, 줄기초, 매트기초의 외곽말뚝이 외측으로 75~150mm 벗어난 경우에는 말뚝중심선에서 벗어난 만큼 

   기초를 확대하고 상하부 철근을 1.5배 보강 (내측으로 벗어난 경우 철근만 1.5배 보강)


* 말뚝시공 위치오차에 따른 조치사항

1) 벽체에 수직방향으로 말뚝이동

(1) 150mm이상 초과될 경우 : 구조검토 후 추가 항타 및 기초보강

(2) 75~150mm 벗어난 경우 
- 말뚝 중심선에서 벗어난 만큼 기초확대 및 철근 1.5배 보강 (내측으로 벗어난 경우 철근만 1.5배 보강)

벽체에 수직방향으로 75~150mm 벗어난 경우


2) 벽체의 길이 방향으로 말뚝 이동
- Moment arm 길이(L)의 변화가 없으므로 별도의 보강의 불필요

벽체의 길이방향으로 말뚝이동


2. 수직으로 시공되지 않은 경우

- 항타완료후 각도기 등으로 계측하여 수직에 대한 기울기가 말뚝길이의 1/50이상일 경우에는 구조검토후 보강여부를 결정함

* 위의 1/50은 현장시공시 수직도 관리를 위하여 정한 임의기준이며, 말뚝이 기울어져도 지지력에 문제가 없으면 그냥 써도 무방함.   단, 휜 말뚝은 구조적인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보강을 하여야 함.



3. 항타 중 말뚝이 중파된 경우

- 항타완료후 거울로 비춰보거나 다림추 등으로 중파여부를 확인하여 중파시 보강말뚝을 설계위치에 인접하여 추가 항타하고

  말뚝중심선 외측으로 벗어난 만큼 기초를 확대하고 철근을 1.5배 보강하여 배근하며, 내측으로 벗어난 경우는 철근만 1.5배 보강하여 배근함.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