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슬래브 균열유도 줄눈(Control Joint)의 설치 기준 (출처 : 핵심구조상식)

핵심구조상식2017

by 한솔이지현이아빠 2025. 3. 7. 19:02

본문

728x90

슬래브 균열유도 줄눈(Control Joint)의 설치 기준 (출처 : 핵심구조상식)

 

 

17년에 발간된 핵심구조상식에서 복기하는 내용이라 최신기준에 맞지 않는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참고해서 봐주시면 감사

지하주차장 바닥에 주로 시공되는 슬래브 균열유도줄눈(Control / Contraction joint)의 설치 기준과 시공방법 그리고 지하주차장 최하부층 시공상세에 대해 알아봄


1. 개요

콘크리트는 건조수축 및 온도차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는 데 주차장과 같이 넓은 바닥면의 경우 균열 발생 가능성이 훨씬 커지며 아래의 철근 보강이나 균열유도줄눈(Control/Contraction Joint)으로 처리

1) 철근보강 : 콘크리트의 수축으로 발생하는 인장력을 철근이 저항하나 콘크리트의 면에 임의의 실균열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

2) 줄눈 형성 : 콘크리트 면 위에 취약 위치를 인위적으로 만들어 그 위치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 이때 콘크리트는 여전히 균열을 발생시키지만, 줄눈 이외의 면에서는 균열 미발생.

 





2. 설치간격 및 깊이

1) 줄눈의 간격 : 일반적으로 슬래브 두께의 24에서 30배 (가능한 정사각형 판넬을 형성하도록 위치를 설정하여야 하고, 길이와 폭의 비가 1.5에서 1을 초과하지 않도록 해야함)

2) 줄눈의 폭 : 3에서 5mm 정도

3) 줄눈의 깊이 : 최소한 부재 두께의 1/5에서 1/4 이상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은 물시멘트비, 콘크리트 강도, 지하외벽이나 램프까지의 거리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필요시 이러한 원인을 고려하여 줄눈 간격을 조정해야 함.

바닥 균열유도줄눈 간격 및 위치



3. 균열유도줄눈 시공방법

1) 타설시 형성 : 콘크리트 타설 전 목재판(Wood Strip)이나 조이너(Joiner)를 설치하여 블리딩이 발생하지 전 또는 표면마감 작업 직후 줄눈 생성. 

시공이 늦어질 수록 깔끔한 직선 줄눈을 형성하기 어려우며, 만약 타설 단부에 목재판을 사용했을  때에는 양생이 적당히 진행되면 즉시 제거해야 함.

2) 타설 경화 후 형성 : 타설 경화후, 톱날 등을 이용하여 홈을 파서(Saw Cut) 줄눈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톱날 두께는 일반적으로 약 3mm임. 

 

시공이 늦어지면 줄눈형성이 완료되기 전에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므로, 타설 6~18시간 이내에 줄눈 형성이 바람직하여 24시간 이상 지체되어서는 안됨.

 

 



4. 지하주차장 최하부층 슬래브 균열유도 줄눈 상세







*주의 : 와이어 메시가 노출되거나 잘리지 않도록 줄눈의 깊이를 고려하여 와이어 메시를 배근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