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강관비계, 강관틀비계, 비계다리, 달비계, 외부비계용 브라켓, 비계관리 (츨처 : 건축시공학 / 한솔아카데미)

건설기술

by 한솔이지현이아빠 2025. 4. 12. 21:50

본문

728x90

강관비계, 강관틀비계, 비계다리, 달비게, 외부비계용 브라켓, 비계관리 (츨처 : 건축시공학 / 한솔아카데미)

 

1. 강관비계

1) 단관비계
- 단관비계용 강관과 전용부속 철물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비계로 스팬, 폭, 전체높이 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
- 비계는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설치함.
- 단관비계의 기둥간격은 띠장방향 1.5~1.8m, 장선방향 1.5m이하로 띠장간격은 1.5m내외로 설치하되 첫번째 띠장은 지상에서 2m이하의 위치에 설치함.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378조 제1조1항~2호)

단계비계와 이음철물

 

단관비계

 



2) 강관틀비계

- 공장에서 비계구성부재를 생산하고 이것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사용하는 비계 시스템임.
- 최고 높이 45m이내로 설치하는 것이 원칙임.
- 틀비계의 높이는 2m이하로 하여 교차가새와 가로장선으로 보강함.
- 높이가 20m를 초과하거나 중량물을 비계위에 올려놓고 작업을 할 경우에는 주틀간의 간격은 1.8m이하로 해야 함.
- 구조체와의 연결간격은 수직방향 6m이내, 수평방향 8m이내로 하며 기둥의 밑둥에는 조절형 밑받침을 사용하여 틀비계의 수평 수직을 유지함.
- 틀비계의 길이가 띠장방향으로 4m이하이고 높이가 10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10m이내마다 띠장방향으로 버팀기둥을 설치해야 함.
- 또한, 연약지반에서는 하부의 접지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깔판을 깜.

강관틀비계

 

틀비계매기

 



3) 비계다리

- 고소에 오로내림과 재료 공구를 운반하기 위한 통로로써 폭 90cm이상, 경사는 30도 이내로서 17도(구배 4/10)를 표준으로 함.
- 각 층마다 되돌음 또는 다리참을 두는 데 층의 구분이 없을 경우에는 높이 7m초과시 7m이내마다 1개소 이상 설치함.
- 비계다리에서 각층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깊이는 1.8m이상으로 설치함.
- 추락방지를 위해 75cm이상의 높이에 난간을 설치함.

비계다리

 



4) 비계의 벽이음 설치

- 벽이음은 비계기둥과 띠장의 교차부에서 비계면에 대해 직각으로 함.
- 폼타이 구멍에 고정하는 브라켓 철물을 주로 이용하지만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벽에 고정하기도 함.

벽이음 설치의 예



2. 달비계
- 달비계는 철골공사용의 발판과 현장용접 및 도장 등에 쓰이고 건물 구체가 완성된 이후의 외부작업에도 쓰임.
- 철골공사용은 철골보에 철근을 용접하거나 체인을 매어 만들고, 외부작업용은 구체에서 형강재를 내밀어 와이어로프로 달아 내리고 상하 이동모터를 설치함.
- 달비계의 작업발판은 40cm이상의 폭으로 틈새가 없도록 실치하여며 작업발판의 재료는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아니하도록 비계의 보 등에 연결하거나 고정시킴.

달비계

 


3. 발돋음대
- 아래 그림과 같은 모양으로 만들어 위에 발판을 걸쳐대고, 3.6m미만 높이의 경미한 내부공사에 사용되는 이동형 비계임.

발돋음대

 



4. 외부 비계용 브라켓
- 외부비계용 브라켓은 2층 이상의 위치에 설치하여 비계를 받기 위한 설비로서 보통 절재로 만듬
브라켓 설치 간격은 수평방향 1.5~1.8m이내로 하여 용도별로 적절한 브라켓을 설치해야 하며 지지보수대는 수직, 수평 5m이내의 간격으로 설치함.
- 콘크리트가 충분히 양생된 후 설치해야 하며, 수시로 앵커볼트, 지지마찰판의 조임상태 등에 대한 점검을 해야 함.
- 측벽부위의 브라켓은 작업대 설치가 가능한 제품을 사용하고, 브라켓의 고정을 위한 관통형 폼타이 구멍은 브라켓 철거후 하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코킹컴파운드를 시공후 시멘트 모르타르로 마감하여야 함.
15층 이하는 2층과 9층에 설치하고 25층이하는 2층, 10층, 18층에 설치함.

측벽용 브라켓 설치 (건설용가설기자재 구성 및 규격 기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사용위치에 따른 외부 브라켓의 종류



5. 비계의 관리
- 비계나 비계발판은 시공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가설 설비이기 때문에 소홀히 취급되기 쉬우며, 부주의하게 관리하면 매우 위험하므로 작업하중의 과대여부, 결속의 이완, 변형 등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수시로 보강하여야 함.


비계설치 및 사용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음


- 정기적으로 점검하되, 악천후 후에는 반드시 재점검함.
- 비계발판위에 중량물을 올려 놓을 때는 특히 주의해야 함.
- 강풍이 예상될 때에는 보강하고 강풍시에는 사용하지 않아야 함.
- 적설, 결핑시에 부득이 비계를 사용할 경우에는 모래나 톱밥 등을 뿌려 미끄러짐을 방지함.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