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적설하중과 지붕의 국부적인 적설하중 (출처 : 핵심구조상식)
2017년에 발간한 핵심구조상식에서 복기하는 내용으로 최신기준에 맞지 않는 용어나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참고해서 봐주시면 감사헸습니다.
1. 지역별 기본지상 적설하중 (100년 재현주기 지상적설하중)
2. 지붕의 국부적인 적설하중
1) 적설하중이 작은 지역
- 지상적설하중(Sg)이 0.5kN/m2보다 작은 지역에서는 퇴적량에 의한 추가하중을 고려할 필요가 없음.
2) 고려해야 하는 지역(지상 적설하중이 0.5kN/m2 이상인 지역)
- 특히, 철골지붕의 경우, 퇴적량에 의한 추가 적설하중을 고려하지 않아 지붕재가 파손된 사례가 있으므로 반드시 검토가 필요함.
(1) 구조물에서의 낮은 쪽 지붕
[그림 1] 낮은 쪽 지붕의 퇴적량 하중 분포
[그림 2] 퇴적량 깊이(hd) 산정 그래프
(2) 지붕의 돌출부 (파라펫 등)
- 파라펫에 의해 발생하는 지붕 주위의 퇴적량은 [그림 2]의 퇴적량 깊이의 1/2인 0.5hd를 사용하여 산정함.
- 지붕의 길이 ld는 15m를 넘지 않음
- 돌출부가 서로 만나는 부분의 퇴적량은 두개의 퇴적량 중에서 큰 값을 사용함.
- 퇴적량에 의한 최대 추가하중 = 0.5hd x (0.43Sg + 2.3) kN/m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