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SPS(Strut as Permanent System) 공법 (출처 : 핵심구조상식)

핵심구조상식2017

by 한솔이지현이아빠 2025. 2. 12. 15:32

본문

728x90

SPS(Strut as Permanent System) 공법 (출처 : 핵심구조상식)

 

2017년에 발간된 핵심구조상식에서 복기하는 내용으로 최신기준과 적합하지 않는 내용이 있을 수 있으니 참고하여 봐주시기 바랍니다.

아래부터는 핵심구조상식에 있는 내용입니다.


토목 가시설 공법 중 Strut를 본 구조물로 이용 가능한 SPS공법에 대해 알아봄.


1. SPS공법의 개념

    1) 지하 본 구조물용 철골기둥과 보를 굴토공사 진행에 따라 선 시공하여 굴토공사 중 흙막이 지보공 STRUT를 사용하고, 

    2) 굴토공사 완료후에는 본 구조물로 사용함으로서 가설 STRUT 시공 및 해체 공정의 불필요로 공기의 단축과 공사비 절감, 구조적 안정성 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방법


2. SPS공법과 STRUT공법과의 비교

    1) SPS공법 

SPS공법


      (1) 지지방식 : 지하 본 구조물용 철골 기둥과 보를 흙막이 지보공으로 사용

      (2) 시공 : 지상 지하공사 동시 병행 (Up-Up & Top Down 가능)

      (3) 장점 : 가설공사 불필요 (해체공정 불필요(공기단축, 원가절감), 가설해체로 인한 응력불균형 문제없음, 가설STRUT로 인해 발생하는 폐기물 저감)), 

                        현장유지 관리가 용이

      (4) 단점 : 지하기둥SRC공법 도입필요 (원가상승), 

                       기초PRD/RCD공법 도입 필요 (원가상승),

                       암반 굴착시 철저한 제어발파 필요,

                       테두리보 연결부의 복잡성 (시공성 저하),

                       철골부재 사이즈 증가(층고의 증가)


    2) STRUT공법 

STRUT공법


      (1) 지지방식 : 굴착 외주에 토류벽을 설치하고 이것을 버팀대와 

                               띠장 등의 지지구조로 지지

      (2) 시공 : 지하공사 완료 후 지상층 공사

      (3) 장점 : 층고에 구애받지 않음, 

                      토압에 대응한 설계가능, 보강이 용이, 부분적 설계대안이 다양,

                      토질 및 인근대지의 영향을 적게 받음,

                      재질이 균등하고 재사용 가능

      (4) 단점 : 가설재의 설치 및 해체작업 필요, 

                 가설재의 해체 공정시 응력불균형 발생(지반변위로 인한 본구조체의 품질저하),

                      STRUT의 간격이 조밀하여 시공능률 저하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