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철근의 정착 및 피복두께 (출처 : 건축시공학 /한솔아카데미)

건설기술

by 한솔이지현이아빠 2025. 1. 20. 23:20

본문

728x90

철근의 정착 및 피복두께  (출처 : 건축시공학 /한솔아카데미)

1. 철근의 정착


철근콘크리트 구조체가 큰 외력을 받게되면 철근과 콘크리트는 분리 될 수 있다.

철근을 콘크리트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철근을 충분히 깊이(길이)로 정착해야 함.


1) 철근의 정착길이


(1) 큰 인장력을 받는 곳의 정착길이는 철근 지름의 40배 이상, 압축철근 및 작은 인장력을 받는 곳의 정착길이는 철근 지름의 25배 이상으로 한다.

(2) 정착길은 후크(Hook) 중심간의 거리로 하며, 후크의 길이는 정착길이에 포함하지 않는다.

(3) 철근의 정착은 기둥이나 보의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 둔다.

인접 보에 정착하는 경우

 

단부 기둥에 정착하는 경우



2) 철근의 정착위치

(1) 기둥의 주근은 기초에 정착한다.

(2) 보의 주근은 기둥에 정착한다.

(3) 작은 보의 주근은 큰 보에 정착한다.

(4) 직교하는 단부 보 밑에 기둥이 없을 때는 보 상호간에 정착한다.

(5) 지중보의 주근은 기초 또는 기둥에 정착한다.

(6) 벽 철근은 기둥, 보, 기초 또는 바닥판에 정착한다.

(7) 바닥 철근은 보 또는 벽체에 정착한다.

보의 단부 정착길이 예시

 

기둥 보 철근의 정착 및 이음 예시

 

 




2, 철근의 피복두께

철근의 피복두께는 철근의 외면과 콘크리트 표면과의 거리를 말한다.

철근콘크리트 부재가 구조성능을 발휘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피복두께를 확보해야 한다. 

철근의 피복두께가 너무 작으면 부재 내부 응력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며, 대기 중의 습기 및 콘크리트 중성화에 의한 

철근의 부식, 화재시 가열로 인한 강도 저하 등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의 물리적 수명이 단축된다.



1) 철근 피복두께 확보 목적

(1) 내화성능 유지

(2) 콘크리트와의 부착력 증대

(3) 콘크리트 타설시 유동성 확보 (굵은 골재의 유동성 유지)

(4) 철근의 방청 및 내구성능 유지

철근의 피복두꼐

 

철근의 최소 피복두꼐

 



2) 철근의 간격 (아래 (1), (2), (3) 중 큰 값)

(1) 철근 지름의 1.5배 이상

(2) 2.5cm 이상

(3) 굵은 골재 지름의 1.25배 이상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