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성 및 경제성 평가 논문 소개-1 :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띠철근에서 135도 갈고리 대체 클립형 연결장치의 시공성 및 비용분석[(출처:CH건설기술/RCC내진갈고리/제품문의:02.2240.4990)]
시공성 및 경제성 평가 논문 소개-1 :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띠철근에서 135도 갈고리 대체 클립형 연결장치의 시공성 및 비용분석[(출처:CH건설기술/RCC내진갈고리/제품문의:02.2240.4990)]
CH건설기술(또는 씨에이치건설기술) 홈페이지 소개 : http://chrcc.kr
RCC 내진갈고리
원터치 내진클립, 기둥 띠철근 풀림방지 클립, 기둥 띠철근 135º대체용 내진클립
chrcc.kr
135도 표준갈고리 대체용 원터치 RC클립에 대해 시공성 및 경제성 평가를 실시하여 건축시공학회에 게재한 논문을 3편으로 나눠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건축시공학회에 게재한 논문의 제일 앞페이지 부분입니다. 2020년 10월에 게재된 논문인데요...
사실은 이 동일한 내용으로 건설관리학회에 게재요청했으나 기둥 후프의 배근을 옆에서 끼우는 것만 검토되고 기둥 상부에서 끼우는 것은 검토가 되지 않았다고 거부당하고 건축시공학회에 다시 게재 요청을 하여 운좋게도 게재가 된 논문입니다.
사실 논문을 써본 사람이라면 다들 공감하시겠지만 논문 게재가 참 쉽지는 않습니다.
(아래사진) 논문 제목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띠철근에서 135도 갈고리 대체 클립형 연결장치의 시공성 및 비용분석이고요... 저자는 박경언과 충남대학교 윤현도 교수님으로 되어 있습니다.
CH건설기술의 CH-RCC 제품은 제품명이 CH-RCC D10과 CH-RCC D16으로 되어 있지만 논문에는 특정 제명을 사용할 수 없는 이유가 있어서 통상적으로 강재 클립형 연결장치라는 이름으로 게재하였습니다.
(아래사진) 서론 부분입니다. 당연히 서론부분에서는 시공성 및 경제성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습니다.
(아래사진) RC기둥에서의 기둥 후프 갈고리에 대한 기준의 그림이고 양단 135도 갈고리가 준수되지 않을 경우 포항지진에서의 기둥에서 갈고리가 쉽게 풀리면서 필로티 기둥이 좌굴과 파괴되었다는 설명을 하면서 보여준 사진입니다.
(아래사진) 연구 방법 및 범위의 내용 기재로 이번 연구는 시공성과 경제성을 평가하는 데 그 범위가 있다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습니다.
(아래사진) 보통 현장에서 띠철근을 시공하는 사진과 이때 주로 사용하는 띠철근 갈고리를 보여주는 사진인데요....
실제로 이렇게 시공하는 것은 조그만한 현장이고 큰 현장은 양쪽 135도 갈고리로 만든 띠철근을 기둥 상부에서 배근하는 데 그 내용을 검토하지 않았다고 건설관리학회에서는 Reject당했지요.. 그런 지적도 타당하긴 합니다.
(아래사진) 다음은 기존 연구사례를 분석한건데요... 사실 시공하는 데 아무 문제가 없으면 이전에 이런 연구들을 하지 않았겠죠... 문제가 되니 이것 저것 해본 것 같습니다. 제일 위의 그림처럼 분리된 띠철근을 이용해서 후프를 만드는 사진이고 두번째는 연속후프라고 미리 만든 연속후프로 시공하는 사진입니다. 마지막 사진은 앙상한 클립을 끼워서 어떻게 해보겠다는 건데 사실 구조성능이 나올 지 의심되는 상세입니다.
(아래사진) 그래서 클립형 연결장치인 원터치-RC클립을 개발하게 되었다라는 내용이고요
(아래사진) 계속 언급했듯이 여러가지 형상 결정을 통해 현재의 원터치-RC클립이 되었다라는 설명과 그 사진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아래사진) 결과적으로 구조성능 검증은 했는 데 성능을 확보가 된 거 같고, 이제 시공성과 경제성에서 어떠한 효과가 있는 지 확인을 해보겠다는 내용입니다
오늘은 개요 및 서론 부분에 해당되는 내용만 기술해보고 2편부터 본론에 해당하는 내용을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첨부된 문서는 건축시공학회 2020년 10월에 게재된 논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