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크리프(Creep) (출처 : 철근콘크리트구조 / 예문사)

건설기술

by 한솔이지현이아빠 2025. 1. 28. 17:35

본문

728x90

크리프(Creep) (출처 : 철근콘크리트구조 / 예문사) 

 

 

1. 크리프 현상

1) 정의 : 경화된 콘크리트에 지속하중이 작용할 때 생기는 시간종속적인 변형률

콘크리트의 탄성 및 크리프 변형률



2) 원인 

(1) 콘크리트가 압축을 받으면 압축응력을 전달하는 젤 입자 사이의 흡착수층이 얇게 되려는 경향 때문에 발생함

(2) 흡착수층의 두께 변화는 초기에 빨리 생기나 시간이 갈수록 늦어진다.

(3) 새로운 위치에서 수화에 의한 결합이 형성되어 하중 제거 후에도 영구변형이 남는다.


3) 분류

(1) 기본 크리프 : 콘크리트와 주위와의 수분이동을 차단한 채 발생되는 시간종속적인 변형률

(2) 건조 크리프 : 기본크리프의 건조에 의한 변형률이 추가된 것


4) 영향요소

(1) 콘크리트 강도와 재령 : 강도가 클수록 높은 재령에서 하중을 받을 수록 크리프는 작아진다.

(2) 하중재하기간 : 크리프의 약 80%는 4개월내에 발생하고 2년후에는 약 90% 정도가 진행된다.

(3) 응력수준 : 강도와 재하기간이 같을 경우 응력증가에 따라 크리프는 증가한다.

(4) 환경조건 : 습도가 증가함에 따라 크리프는 감소한다. 크리프는 온도 70도까지는 증가하고 70도에서 110도까지는 감소하며, 110도부터 다시 증가하는 현상을 보인다.

(5) 하중재하속도 : 재하속도의 증가에 따라 크리프는 증가한다.

(6) 물 시멘트비 : 물 시맨트비가 클수록 크리프는 증가한다.

(7) 배합비 : 시멘트의 양이 많을 수록 크리프는 증가한다.

(8) 양생조건 : 고온증기 양생시 크리프는 감소한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