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기술사
토공사 중 계측관리 (출처 : 건설안전기술사 : 예문사)
한솔이지현이아빠
2025. 6. 29. 20:58
토공사 중 계측관리 (출처 : 건설안전기술사 : 예문사)
1. 개요
가. "흙막이 공사의 계측관리"란 굴착공사시 흙막이 부재 및 주변의 안전성을 확복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현장측정을 말함.
나. 흙막이공사 현장의 주요 지점에 각종 계측기기를 설치하여 시공 중에 발생하는 실제 지반의 거동을 측정하여
다. 당초의 설계와 비교해 안전하고 경제적인 시공으로 유도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라. 사전에 계측계획을 수립하여 계측계획에 따른 현장측정을 실시하여야 함.
2. 계측관리의 목적
가. 일반적 계측관리
1) 시공전 자료조사, 시공중 안정성 검토, 시공후 유지관리
2) 계측 결과의 피드백으로 향후 설계에 반영
3) 문제 발생시 법적 근거자료로 활용
나. 전문적 계측관리
1) 시공적 측면 : 현재의 안정성 도모 및 장래의 거동 예측
2) 설계적 측면 : 향후 설계의 질적 향상
3. 계측항목별 계측기기의 종류
가. 균열측정기 (Crack Gauge)
- 인접구조물, 지반 등의 균열 부위에 설치하여 균열크기와 변화를 정밀측정
나. 경사계 (Tiltmeter)
- 인접구조물, 옹벽 등에 설치한 후 기울기를 측정하여 안전도 여부를 파악
다. 지중경사계 (Inclinometer)
- 흙막이벽, 인접구조물 주변에 설치하여 수평방향의 지반 이완영역 및 가설 구조물의 안전도를 판단하여 토류벽의 기울어짐 측정
라. 하중계 (Load Cell)
- Strut, 어스앵카에 설치하여 굴착진행에 따른 축하중 측정으로 이들 부재의 안정성 여부 판단
마. 변형률계 (Strain Gauge)
- Strut, 띠장 등에 부착하여 굴착작업 또는 주변작업시 구조물의 변형 측정
바. 지하수위계 (Water Lever Meter)
- 굴착 및 그라우팅 등으로 인한 수위변화를 측정하여 주변 지반의 거동을 예측하기 위해 계측
사. 간극수압계 (Piezometer)
- 굴착, 성토에 의한 간극수압의 변화를 측정하여 안정성 판단
아. 토압계 (Soil Pressure Gauge)
- 흙막이벽 배면 지반에 설치하여 성토나 주변 지반의 하중으로 인한 토압의 변화 측정으로 흙막이벽의 안정성 판단
자. 지표침하계
- 흙막이벽의 배면, 인접구조물 주변에 동결심도보다 깊게 설치하여 지표면 침하량의 변화 측정
차. 소음측정기(Sound Lever Meter), 진동측정기(Vibrometer)
- 지하굴착작업시 중장비의 주행, 발파 등으로 발생하는 소음 진동 측정
4. 계측시 고려사항
가. 착공시부터 준공시까지 계속 계측관리 실시
나. 계측관리계획에 입각하여 계측부위, 위치 선정
다. 공사 준공후, 일정기간 동안 계측실시
라. 계측자료를 그래픽화하여 관리
마. 오차를 적게할것.
바. 전담자 배치 운영
사. 계측계획은 경험자가 수립
아. 곤련성 있는 계측기는 집중 배치할 것.
자. 거동의 변화가 없어도 지속적으ㅗ 계측관리할 것.
5. 결론
가. 계측결과, 예측치와 실측치의 차이가 큰 경우, 당초 조건을 수정하여 설계에 반영함으로써 위험요인을 제거함.
나. 흙막이의 계측은 지반침하등의 변화와 구조물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는 것으로,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재해예방의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