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술
고력볼트(고장력볼트) 체결 (출처 : 철골구조 /예문사)
한솔이지현이아빠
2025. 4. 7. 10:27
728x90
고력볼트(고장력볼트) 체결 (출처 : 철골구조 /예문사)
1. 일반사항
- 마찰접합 또는 전인장 조임되는 고력볼트는 너트회전법, 직접인장측정법, 토크관리법, 토크쉬어볼트 등을 사용하여 강구조기준에서 정하고 있는 설계볼트장력 이상으로 체결되어야 함.
- 이때, 하중이 접합부의 단부를 향할 때는 적절한 설계지압강도를 갖도록 검토되어야 함.
- 그러나, 다음의 경우, 일반조임이 사용될 수 있음.
1) 지압조합
2) 진동이나 하중변화에 따른 고력볼트의 풀림이나 피로가 설계에 고려되지 않는 경우
3) 일반조임이란? 임팩트렌치로 수 회 또는 일반렌치로 최대로 조여서 접합판이 완전히 접합된 상태를 말함. 일반조임은 설계도면과 시공도면에 명확히 표기되어야 함.
- 고장력볼트이 조임 종류는 용도에 따라 밀착조임(Snug-Tight), 전인장조임(Fully-Tensioned), 마찰접합(Slip-Critical Joint)로 구분함. 여기서, 전인장조임은 마찰면 처리를 하지 않고 설계볼트장력으로 조임한 경우를 말함.
2. 설계볼트장력(To)
- 고력볼트의 설계상 미끄럼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임력을 말하며, 볼트를 조일 때 발생되는 비틀림응력으로 인해 인장강도가 10%정도 감소하는 현상과 재료의 항복비가 1.0에 가까운 것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정하고 있음.
An은 Ae임 Ae는 0.75A공칭 임 (위 식 오타)
3. 표준볼트장력
- 설계 시공시 설계볼트장력에 오차를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설계볼트 장력에 10%정도를 할증한 값을 말함.
1300x0.9 = 1170, 1000x0.9= 900, 800x0.8=640
-KS B 1010에 의하여 수소지연파괴 민감도에 대하여 합격된 시험성적표가 첨부된 제품에 한하여 사용하여야 함.
* 설계볼트장력은 볼트의 인장강도의 0.7배에 볼트의 유효단면적을 곱한 값, 볼트의 유효단면적은 공칭단면적의 0.75배
* F8T는 현재 사용안함, F13T는 시험성적서 필요, 설계볼트장력(To 165kNx1.1=182kN의 표준볼트장력이 됨)
4. 마찰면의 처리
- 볼트구멍 중심으로 볼트직경의 2배 이상의 범위의 흑피를 숏블라스트(Shot Blast) 또는 샌드블라스트(Sand Blast)로 제거한 후 자연방치 상태에서 붉은 녹이 발생한 상태를 표준마찰면이라 하며, 이 경우 미끄럼계수가 0.5이상 확보된 것으로 간주
- 끼움판(Filler Plate)을 사용하는 경우, 끼움판도 마찰면 처리를 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