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구조상식2017

중성화 방지를 위한 최소 피복두께 (출처 : 핵심구조상식)

한솔이지현이아빠 2025. 2. 5. 20:48
728x90

중성화 방지를 위한 최소 피복두께 (출처 : 핵심구조상식)

 

2017년에 발간된 서적이라 최신기준 내용에 맞지 않는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냥 공부하는 차원에서 복기하기 때문에 참고하여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래부터는 핵심구조상식에 기재된 내용입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성화(탄산화) 과정과 영향 그리고 중성화 방지를 위한 물시멘트 비에 따른 최소 피복두께에 대하여 알아봄



1. 중성화(탄산화) 의미

시멘트 수화반응이 끝난 수산화칼슘(강알카리성)이 외부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탄산칼슘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산도(pH)가 12~13에서 8.5~10으로 낮아지는 현상

 

 

2. 중성화 과정 및 영향

중성화 과정 및 영향

 

중성화 과정 및 영향


3. 중성화 방지를 위한 최소 피복두께 예(mm)

중성화 방지를 위한 최소 피복두께 예(mm)

수식 : 

기 호 :  t : 내구연한(년),   X : 중성화깊이(cm),   W :  물시멘트비,  R : 중성화 비율상수 (강자갈, 보통 포틀랜드시멘트는 1.0 적용)

내구연한(예) :  1등급 : 100년,  2등급 : 65년,  3등급 : 30년



4. 중성화 대책

1) 재료 : (1) 고비중의 양질 골재 사용,  2) 낮은 물시멘트비, 공기량 사용

2) 시공 : (1) 물시멘트비에 따른 피복두께 준수,  (2) 충분한 초기양생, (3) 거푸집 제작 및 다짐에 유의 (콘크리트 치밀화)

3) 표면마감재 : (1) 에폭시나 아크릴 수지등 고분자 계통 사용하여 외부 탄산가스 침입 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