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구조용어
변형도노화 (Strain Aging)와 바우싱거 효과, 강재의 항복비 (출처 : 철골구조/예문사)
한솔이지현이아빠
2024. 12. 26. 16:53
728x90
변형도노화 (Strain Aging)와 바우싱거 효과, 강재의 항복비 (출처 : 철골구조/예문사)
변형도노화
강재의 시험편에 인장력을 가하면 1번과 같은 응력-변형도 곡선을 보인다.
그러나, A점까지 소성변형을 시킨 후 하중을 제거하면 그림에 나타난 것과 같은 잔류변형이 발생한다.
이 시험편에 다시 하중을 가하게 되면 원래의 응력변형도 곡선으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나, 소성변형한 시험편을 1주 혹은 10일 정도 방치한 후 다시 인장력을 가하면 2번과 같은 응력-변형도 곡선이 된다.
이 새로운 응력-변형도 곡선에서는 항복점, 항복참 등이 나타나고 강도가 증가하지만 연신율은 현저히 저하된다.
이러한 현상을 변형도 시효(변형도 노화)라 한다.
또한. 재료가 비례한도에 해당하는 응력을 받고 있을 때의 변형에너지 밀도를 복원계수(Modulus of Resilience)라 하며, 다음과 같이 산정할 수 있다.
바우싱거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