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성 및 경제성 평가 논문 소개-2 :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띠철근에서 135도 갈고리 대체 클립형 연결장치의 시공성 및 비용분석[(출처:CH건설기술/RCC내진갈고리/제품문의:02.2240.4990)]
시공성 및 경제성 평가 논문 소개-2 :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띠철근에서 135도 갈고리 대체 클립형 연결장치의 시공성 및 비용분석
[(출처:CH건설기술/RCC내진갈고리/제품문의:02.2240.4990)]
CH건설기술(또는 씨에이치건설기술) 홈페이지 소개 : http://chrcc.kr
RCC 내진갈고리
원터치 내진클립, 기둥 띠철근 풀림방지 클립, 기둥 띠철근 135º대체용 내진클립
chrcc.kr
시공성 및 경제성 평가 논문 소개-1에 이어서 두번째 포스팅하겠습니다.
(아래사진) 본격적으로 시공성 평가를 위한 기둥단면 계획인데요...
폐쇄형 후프를 완성하기 위한 띠철근은 D10과 D13으로 구분하였고요...
양단 135도 갈고리를 만들기 위해서 한쪽 135도 갈고리에 한쪽 90도 갈고리로 되어 있는 띠철근을 파이프를 이용해서 하는 것하고 하나는 원터치-RC클립으로 끼우는 것, 다른 하나는 양쪽 90도 갈고리에 원터치-RC클립을 끼우는 시공성을 비교한다는 내용입니다.
이제 보니 완벽한 논문은 아니었던 것이 사실 주근을 만들고, 기둥 상부에서 끼우는 것도 같이 검토되어야 실제 현장에서 상황을 반영하는 게 아니었나 싶네요..
(아래사진) 그래서, 기둥 철근을 배근할 종단면하고 횡단면을 나타낸 그림입니다.
(아래사진) 한쪽 90도 갈고리를 135도 갈고리로 구부리기 위해 파이프를 사용하는 데 그 모습하고 그때 사용하는 파이프 장비입니다. 저도 사실 이 논문 쓰면서 이런걸 사용하는 지 처음 알았네요 .. ㅎㅎ
(아래사진) 시공성 평가는 단순하게 작업시간을 서로 비교한 거 하고, 또하나는 양단 135도 갈고리로 잘 되었는 지 품질 검사로 비교했다는 내용을 기술한 거에요.
(아래사진) 시공성 평가는 주근부터 하고 띠철근을 배근하는 시간을 체크한 건데요... 작업시작전 사진하고 작업완료후 사진입니다. 논문의 특성상 했다는 증거를 남겨야 되서요...
(아래사진) 시공성 평가를 했다는 증거사진들이고요...
띠철근 D10으로 한 거 입니다. 제일 위에꺼는 양단 135도 갈고리 후프 배근하는 기둥, 두번째는 한쪽 90도 갈고리에 원터치-RC클립(CH-RCC D10) 1개만을 체결하여 작업을 평가하는 사진이고, 세번째 사진은 양쪽 90도 갈고리에 원터치-RC클립(CH-RCC D10) 각각 1개씩 총 2개을 체결하여 작업을 평가하는 사진입니다.
(아래사진) 패턴은 위의 띠철근 D10과 똑같고요...
단지 아래사진은 띠철근 D13을 이용한 것이고, 이때 사용한 원터치-RC클립은 CH-RCC D13입니다.
(아래사진) 위와 같이 시공성을 평가해보고 그 결과를 기술한 건데요...주절 주절..
(아래사진) 이 표는 시공성 평가와 품질 평가 그리고 작업시간을 표로 종합한 거입니다.
이런 표가 들어가 줘야 논문 답게 형식이 좀 잡히죠..
CH건설기술의 RC클립을 사용하면 양단 135도 갈고리 작업한 표준실험체보다 작업시간이 1/2로 줄고 갈고리 품질도 양호하다 뭐 이런 내용입니다.
아직도 아쉽기는 한 게 기둥 상부에서 끼우는 것까지 분석을 했어야 좀 더 완벽한 시공성 평가 논문이 되지 않았을 까 싶네요..못내 아쉽습니다.
(아래사진) 아래 도표는 표에서 작업시간 비교가 잘 안 될 수도 있어서 막대그래프로 비교해 본 그림입니다.
일반적으로 원터치-RC클립을 사용하면 1개든 2개든 사용하기만 하면 작업시간이 1/2로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아래사진) 처음에는 손망치로 원터치-RC클립 설치를 할려고 했는 데 시공성 평가를 하다보니까 아래서 바로 위로 돌리면서 끼우면 되는 것을 알게되어 논문에 그 내용을 논문에 기재하였습니다.
아래 영상은 처음 생각했던 RC클립 설치할려고 했던 손망치 이용 설치 동영상입니다.
아래 영상은 시공성 평가하다 보니, 작업하신 분들이 손망치 없이 그냥 설치해서 이때부터 원터치-RC클립이라고 하기로 했습니다.
https://youtube.com/watch?v=4WTtND3Qldk&si=fNPo0lrGQtnFPkmS
집중력이 떨어져서 오늘은 여기까지 포스팅하겠습니다.
3편에서는 비용분석을 통한 경제성 평가와 종합결론, 요약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첨부된 문서는 건축시공학회 2020년 10월에 게재된 논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