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내구성 확보를 위한 콘크리트 최소설계기준압축강도 및 최소 철근피복두께 (KDS 14 20 40/KDS 14 20 50)

건설기술

by 한솔이지현이아빠 2025. 5. 1. 16:41

본문

728x90

내구성 확보를 위한 콘크리트 최소설계기준압축강도 및 최소 철근피복두께 (KDS 14 20 40/KDS 14 20 50)

 

1. 노출환경 각 등급

1) 일반(E)

- EO : 물리적, 화학적 작용에 의한 콘크리트 손상의 우려가 없는 경우, 철근이나 내부 금속의 부식위험이 없는 경우
- 예 : 공기중 습도가 매우 낮은 건물 내부의 콘크리트

2) 탄산화환경 (EC)
(1)  EC1 : 건조하거나 수분으로부터 보호되는 또는 영구적으로 습윤한 콘크리트
- 예 : 공기중 습도가 낮은 건물 내부의 콘크리트, 물에 계속 침지되어 있는 콘크리트

(2) EC2 : 습윤하고 드물게 건조되는 콘크리트로 탄산화 위험이 보통 
- 예 : 장기간 물과 접하는 콘크리트 표면, 외기에 노출되는 기초

(3) EC3 : 보통 정도의 습도에 노출되는 콘크리트로 탄산화 위험 높음
- 예 : 공기중 습도가 보통 이상으로 높은 건물 내부의 콘크리트 비를 맞지 않는 외부 콘크리트

(4) EC4 : 건습이 반복되는 콘크리트로 매우 높은 탄산화 위험에 노출
- 예 : EC2등급에 해당하지 않고 물에 접하는 콘크리트 

 

 


3) 염해환경 (ES)

(1) ES1 : 보통 정도의 습도에서 대기중의 염화물에 노출되지만 해수 또는 염화물로 노출되지만 해수 또는 염화물을 함유한 물에 직접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 
- 예 : 해안가 또는 해안 근처 구조물, 도로 주변에 위치하여 제빙화학제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2) ES2 : 습윤하고 드물게 건조되며 염화물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 예 : 수영장, 염화물을 함유한 공업용수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3) ES3 : 항상 해수에 침지되는 콘크리트 
- 예 : 해상 교각의 해수중에 침지되는 부분

(4) ES4 : 건습이 반복되면서 해수 또는 염화물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 예 : 해양환경의 물보라 지역 및 간만대에 위치한 콘크리트


2. 등급별 콘크리트 최소압축강도

구 분 등 급 최소압축강도(MPa)
일 반 EO 21
탄산화(EC) EC1 21
탄산화(EC) EC2 24
탄산화(EC) EC3 27
탄산화(EC) EC4 30
염해환경 (ES) ES1 30
염해환경 (ES) ES2 30
염해환경 (ES) ES3 35
염해환경 (ES) ES4 35



3. 염해환경 최소피복두께

1) 현장치기 콘크리트
- 벽체와 슬래브 : 50mm
- 벽체와 슬래브 제외 나머지 부재 :  ES1, ES2 : 60mm, ES3 : 70mm, ES 4 : 60mm)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 벽체와 슬래브 : 40mm
- 벽체와 슬래브 제외 나머지 부재 :  50mm

3) 부분균열등급 또는 완전균열등급 PSC부재는 최소피복두께를 보통 환경에서의 프리캐스트콘크리트 피복두께의 50%이상으로 증가시켜야 함.
(단, 프리스트레스된 인장영역이 지속하중을 받을 때 압축응력을 유지하고 있을 시 피복두께 증가 필요없음)

관련글 더보기